삼성전자,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국제 규격 인증 획득
이동형 로봇 위험 요소 최소화
하드웨어 제어기 없이 안전 관리 가능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이동형 로봇용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가 국제 인증기관인 DNV(Det Norske Veritas)로부터 국내 최초로 국제 규격 'IEC 61508'과 'ISO 13849'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IEC 61508'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으로 안전 무결성 등급(SIL)에 따른 설계·개발·검증 및 유지보수 전 과정에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ISO 13849'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기계류의 안전 부품에 대한 안전 요구사항을 정의한 국제 표준으로 성능 요구 수준(PL)을 통해 안전 시스템의 신뢰성을 평가한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와 로봇 기술의 융합 가속화에 발맞춰 이동형 로봇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는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비상 보호 정지·충돌 감지· 최고 속도 제한 등 10가지 안전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높은 안전성을 인정 받아 로봇 안전 무결성 등급인 'SIL 2'와 'PL d' 레벨을 획득했다.
이번에 삼성전자가 인증 받은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로봇과는 달리 안전 기능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제어기 없이도 로봇 제어와 안전 기능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며 로봇의 장애 진단 및 회피 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향후 제조, 서비스 및 가정용 등 다양한 이동형 로봇에 적용된다면 제품 개발의 효율성과 로봇 주행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파트리치아 캄피 DNV 글로벌 제품 보증 본부장은 "삼성전자의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DNV의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과했다"며 "기술 혁신은 업계간 협력과 안전 기준 확립이 필요한 바, 안전한 로봇 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삼성과 협력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최고은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로봇 플랫폼 팀장은 "이번 국제 규격 인증 취득으로 삼성 로봇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플랫폼에 대해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했음을 입증했다"며 "앞으로도 로봇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마사회 문화센터, 가을학기 수강생 모집…434개 문화 강좌
- 한국마사회, 말산업 기술 스타트업 모집…9월 1일까지 접수
- 대형평형·분리형 세대 특징 갖춘 ‘더팬트47 by 블루밍’ 주목
- 한전, 신보와 ESG 경영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 라운지 리뉴얼…한국의 美 반영
- 현대차, 더현대 서울서 ‘현대 N 팝업스토어’ 오픈
- 이스타항공, 동아오츠카와 근로자 건강관리 맞손
- BMW 그룹 코리아, 설립 30주년 기념 차량 점검·수리 할인 캠페인 진행
- 한전KDN, 2025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하계 워크숍 성료
- KT, ‘K 인텔리전스 해커톤 2025’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