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힘주는 미래에셋증권, 2030년까지 자사주 1억주 소각
올해 ROE 10%, 주주환원성향 35% 달성
자사주 1억주 소각시 유통주식 24% 줄어
글로벌 사업 세전이익 5,000억원 이상 창출

[서울경제tv=김보연기자] 미래에셋증권이 올해부터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 주주환원성향 35% 이상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22일 발표했다. 이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사업에서 세전이익 5,000억 원 이상을 창출하고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주 이상을 소각겠다는 계획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우선 이론적 주주자본비용(CostofEquity)을 기반으로 ROE 목표를 설정했다. 국내외 사업의 ROE 성과를 분석하고, 국내 사업과 더불어 자기자본의 40%를 배분한 해외 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당장 인도 쉐어칸 증권사 인수가 마무리되면 글로벌 사업에서 연간 1,000억원 이상 이익이 증가할 전망이다.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으로는 고객자산 규모 확대와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비즈니스 전환, 장기 관점의 혁신자산 투자와 장기적인 주주환원 추구 등을 내세웠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혁신 자산 투자와 주주환원 정책도 실행 계획에 담았다. 오는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주 이상을 소각해 주당순자산(BPS) 제고를 추진하기로 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미 지난 2019~2023년 주주환원성향을 30% 이상 달성한 바 있다. 2024~2026년 주주환원성향을 5%포인트(p) 상향한 35% 이상으로 설정했다.
특히 증권업계 최초로 매년 최소 보통주 1,500만주, 2우선주 100만주 이상 소각하기로 해 주주환원정책의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계획대로 오는 2030년까지 1억주를 소각하면 최대주주 지분을 제외한 실질 유통주식수는 4억 1,000만주에서 3억1,000만주로 감소한다.
이밖에 임원진이 참여하는 분기 어닝스 콜을 정례화하는 등 주주·시장 소통 강화 방안도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포함됐다. 이 외에도 고객자산 규모를 확대하고, 인공지능(AI) 기반의 비즈니스 전환(AI Transformation)도 가속화한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계기로 시장에서 국내를 넘어 글로벌 투자은행(IB) 수준에서 기업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 AI 비문 인식 서비스 '제1차 ICT 규제특례' 지정
- 우리기술, SMR 관련 기술 고도화…'SMR 국책과제' 4년 연속 선정
- 경남제약, ‘미놀에프트로키’ 40주년 레트로 한정판 선봬
- 라메디텍, 뷰티 디바이스 ‘퓨라셀미인’ 미국·유럽 인증 동시 획득
- 한은, 기준금리 2.50% 동결·성장률 전망치 0.9%로 상향 조정
- 우리금융그룹, 2025년 APEC 정상회의 공식 후원
- 농협은행 6년 연속 지역재투자평가 최우수 등급 달성
- "7월 소비 반등…민생쿠폰 수혜에 편의점주 주목"
- 삼성화재, '해외 2시간 항공지연 특약' 출시
- [부고] 오승현(현대해상화재보험 부장)씨 모친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