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신뢰 하락에 고전…이번 사고로 또 타격"
경제·산업
입력 2024-12-30 10:21:18
수정 2024-12-30 10:21:18
이수빈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가운데, 사고 기종인 737-800을 제조한 보잉이 신뢰도에 또 한 번의 타격을 입게 됐다고 영국의 더타임스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더타임스는 보잉 737-800 기종이 과거에도 수차례 사고가 났던 기종임을 언급하며, 보잉의 문제 해결 역량과 사내문화를 지적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올해 1월 5일 알래스카항공 여객기의 동체 일부 이탈 사고 이후 약 12개월 만에 다시 발생한 보잉 737-800 운행 사고다.
당시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국제공항을 이륙한 보잉 737 맥스 여객기는 약 5,000m 상공에서 창문과 벽체 일부가 뜯겨 나가 비상착륙했다. 179명이 사망하는 최악의 참사가 된 이번 사고와 달리 당시에는 기적적으로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앞서 189명의 사망자를 낸 2018년 인도네시아 라이온 에어 여객기 추락사고, 157명이 사망한 2019년 에티오피아 항공 여객기 추락사고에 이어 다시 737 맥스 기종에서 결함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보잉이 제조상의 문제를 해결할 역량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확산됐다고 더타임스는 전했다.
또 비용 절감에 치중하다가 안전 관리를 간소화하는 보잉의 사내 문화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이 사고를 계기로 각국에서 보잉의 737 맥스 항공기의 운항이 정지되고 해당 기종의 생산이 제한됐다./sb413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주유소 기름값 2주 연속 하락…"하향 안정세"
- 李대통령, 일본으로 출국…3박 6일 日·美 순방
- 트럼프 " 美정부, 인텔 지분 10% 인수"…최대주주 등극
- 위조품 유통 느는데…온라인 플랫폼, 허술한 대응 ‘여전’
- 식품업계, '야외활동 간편식' 시장 공략…'처서 매직' 기대
- “지금이 자금 조달 적기”…방산 중견사 상장 러시
- "한미정상회담, 힘 보탠다"…재계 총수 총출동
- [부동산 캘린더] 내주 1701가구 분양…"수도권·지방 동시 공급"
- 정체된 토종 OTT...넷플릭스 독주 속 생존 과제는?
- 사망자 10명 중 8명이 '아버지' 세대…건설현장 기술이 답이 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