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마켓-알리동맹' 경계하는 쿠팡…대응전략 수립 착수
경제·산업
입력 2025-01-06 08:58:33
수정 2025-01-06 08:58:33
진민현 기자
0개
고위경영진, 대응안 강구지시…시장구도 변화·알리부상 가능성 촉각
CJ대한통운 주7일 배송에 네이버 쇼핑앱까지…"쿠팡에 도전적 한해"

당장의 국내 이커머스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변수로 보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몰두하는 모양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쿠팡의 고위 경영진은 신세계와 알리바바가 G마켓(지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를 포함하는 합작회사 설립을 발표한 직후 시장에 미칠 영향과 쿠팡의 대응 방향 등을 포함한 전략을 수립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점유율 3위권인 G마켓과 지난해부터 한국 시장에서 이용자 규모를 급속히 키우며 놀라운 성장성을 보여주는 알리익스프레스의 전략적 동맹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쿠팡은 특히 G마켓과 손잡은 알리익스프레스의 부상 가능성을 눈여겨본다.
신세계와의 합작을 추진한 알리익스프레스의 핵심 전략은 G마켓이 보유한 60만 판매자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서 수요가 높아지는 K-상품을 공급하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한국 시장을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알리익스프레스와 G마켓, 옥션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합계 1천390만명으로 쿠팡(3천202만명)의 절반에 육박한다.
카드 결제 추정액은 G마켓 3천874억원(이커머스 점유율 6.89%), 옥션 1천137억원(2.02%), 알리익스프레스 1천133억원(2.02%) 등 합산 6천146억원(10.93%)으로 여전히 쿠팡(3조2천345억원·57.53%)에 크게 뒤진다.
다만, 알리익스프레스가 단가가 높은 K-상품의 판매 비중을 점차 높인다면 거래 규모도 비교적 단기간 안에 빠르게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막강한 자금력을 갖춘 알리익스프레스가 G마켓과 손잡고 K-상품에 대한 대대적인 할인 공세에 나설 경우 쿠팡과의 정면 대결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쿠팡이 합작법인 발표 직후 발 빠르게 대응 방안을 강구하기 시작한 것도 이에 따른 위험 요인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커머스 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으로선 한동안 공고할 것으로 여겨졌던 자사 입지가 G마켓-알리익스프레스 간 동맹으로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커머스와 연결된 배송 부문도 올해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변수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무엇보다 쿠팡의 물류 경쟁자인 CJ대한통운이 이날부터 주7일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 것을 주목한다.
일요일과 공휴일의 배송 사각지대가 사라져 한층 빠른 배송이 가능하게 된 셈이다. 그 수혜는 CJ대한통운의 물류 시스템을 활용하는 네이버와 G마켓, 알리익스프레스에 돌아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해당 플랫폼 이용자들이 주중·주말 구분 없이 당일 주문하면 다음 날 받아볼 수 있는 배송 시스템이 정착하면 로켓배송으로 시장을 잠식한 쿠팡으로의 쏠림 현상도 그만큼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
CJ대한통운의 주7일 배송에 따른 이커머스 시장 변화는 이르면 올 하반기쯤 가시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가 합류하는 신세계-알리바바의 합작 법인과 네이버의 쇼핑앱은 상반기 중 공식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이런 배경에서 2025년은 쿠팡에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도전적인 한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가 쿠팡이 독보적인 1강 체제를 구축하느냐, 쿠팡-네이버의 2강 체제가 굳어지느냐, 아니면 G마켓-알리익스프레스가 유의미한 경쟁자로 부상하느냐 등을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jinmh09@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메이드,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 중기중앙회,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방향 대토론회 개최
- 대웅제약, '에너씨슬 플래티넘 메가' 출시
- 종근당, 신약 개발 기업 '앱클론'에 전략적 지분 투자
- SKT, 1분기 영업익 5674억…전년比 13.8% ↑
- 인젠트, ‘테스트 데이터 보안 전략’ 웨비나 개최
- 헤드스파7, 신제품 ‘V8 헤어미스트·헤어크림’ 출시
- 다이나핏, 서울·수도권 주요 빌딩에 트레일 러닝 정보 송출
- KBI그룹, 경북 산불 피해 복구 성금 1억 기탁
- 유한양행, 마그네슘 액상제 ‘마그비스피드’ 신규 광고 공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위메이드,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 2중기중앙회,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방향 대토론회 개최
- 3대웅제약, '에너씨슬 플래티넘 메가' 출시
- 4종근당, 신약 개발 기업 '앱클론'에 전략적 지분 투자
- 5남원시, 제95회 춘향제…먹거리로 지역축제 품격↑
- 6남원시의회 '도시재생 발전 연구회', 천안·대전 도시재생 거점시설 방문
- 7국립민속국악원, 국악콘서트 '다담'…소설가 공지영 초청
- 8"복강경 대장암 수술 후 삶의 질 회복… 6주면 가능"
- 9SKT, 1분기 영업익 5674억…전년比 13.8% ↑
- 10광주시-교육청-자치구, '투표가 힘 6대 실천' 약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