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작년 매출 신기록…고환율에 영업익은 ‘감소’
경제·산업
입력 2025-01-23 17:57:25
수정 2025-01-23 17:57:25
이혜란 기자
0개

[앵커]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연간 매출 기록을 다시 한 번 갈아치웠습니다. 경기침체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을 딛고 기록한 실적이라 의미를 더했는데요. 다만 판매보증충당금 증가 등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로 최대 실적 경신에는 실패했습니다. 이혜란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매출 175조2,3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보다 7.7% 늘며,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9% 감소한 14조2,39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2023년 연간 영업이익은 15조1,269억 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치였는데, 환율 상승 영향으로 판매보증 충당금이 늘어나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판매보증 충당금은 차를 판매할 때 제공하는 무상 보증과 수리 서비스 비용을 회계상 비용으로 미리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414만1,791대를 판매했습니다. 전년 대비 1.8% 감소했지만 SUV(스포츠유틸리티차), 친환경차 등 고부가 차종 판매의 증가로 매출이 상승세를 이어간 겁니다.
현대차는 올해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상황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전략입니다.
하이브리드차 모델 확대, 친환경차 라인업 보강 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를 늘리고, 동시에 북미 현지 생산 체계를 본격 가동해 시장 대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
유연한 경영 전략을 통한 수익성 방어에 집중한다는 계획입니다.
현대차는 올해 판매 목표를 국내 71만 대, 해외 346만4,000대 등 총 417만4,000대로 설정했습니다.
특히, SDV 전환 대응, 미국 전기차 공급망 구축, 미래 기술력 확보를 위해 올해 총 16조9,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진매 vs 진순’ 논쟁 종결?…오뚜기, 진라면 '약간매운맛' 출시
- 오너리스크에 가맹점 울상…백종원式 상생안 통할까
- 위메이드, 업비트 등 공정위 제소…“상폐 담합”
- 대선이후 보험업법 개정안 재점화? 삼성 ‘촉각’
- 몸집 불리는 에어프레미아…“M&A로 외연 확장”
- “단순투자? 경영참여?” 한진칼 지분 늘린 호반건설 속내는
- 카카오, 자체 개발 ‘카나나’ 언어모델 4종 오픈소스 공개
- 네이버, 전문성·독립성 높인 새로운 ‘뉴스제휴위원회’ 출범
- 중기중앙회, 제1차 중소기업 글로벌화 지원 위원회 개최
- 셀로닉스, ‘트리어드 투명 오메가3 코어’ NS홈쇼핑서 선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GP철거 후, 주인을 잃은 토지
- 2인천펜타포트락페스티벌, 8월 출격
- 3"치매 진료에 제도적 지원 시급"…대한치매학회, 새 정부에 3대 정책 제언
- 4민주당 민생소통추진단 광주·전남 5만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
- 5'진매 vs 진순’ 논쟁 종결?…오뚜기, 진라면 '약간매운맛' 출시
- 6“주가 반토막·저PBR”…투자자 외면에 K제조업 ‘흔들’
- 7오너리스크에 가맹점 울상…백종원式 상생안 통할까
- 8위메이드, 업비트 등 공정위 제소…“상폐 담합”
- 9대선이후 보험업법 개정안 재점화? 삼성 ‘촉각’
- 10애플페이·NFC설치·코인…카드사 ‘삼중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