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콜버스 서비스 호평, 더 많이 타고 더 짧게 기다렸다
전국
입력 2025-02-05 12:13:47
수정 2025-02-05 12:13:47
김승봉 기자
0개
운행 9개월 승객 3배 증가, 대기시간 34분 단축, 5억2,000만원 예산 절감
[서울경제TV 전남=김승봉 기자]
영암콜버스를 점검하고 있는 우승희군수(사진=영암군)
노선버스에서 콜버스로 바꾼 영암군의 대중교통 혁신이, 하루 평균 탑승객 3배 증가, 대기시간 34분 단축, 연간 예산절감액 약 5억2,000만원의 성과를 냈다.
영암군(군수 우승희)이 4일 현대자동차(주) 셔틀사업팀과 ‘24년 영암 콜버스 성과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동안 영암콜버스 운영으로 축적된 자료, 올해 1/9~19일 삼호읍 영암콜버스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그 성과를 알리고 나선 것.
지난해 3월 영암군은 배차 간격 증가, 서비스 저하, 탑승객 감소, 운영 비용 증가 등 군내 버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개 고정 노선을 운행하던 버스 시스템을 수요응답형 콜버스 체계로 바꾸고 4대의 차량을 투입했다.
영암콜버스 시행 9개월 후인 지난해 12월까지, 하루 평균 버스 탑승객은 115명(2022년)에서 360명으로 3배가량 늘었다.
시간에 맞춰 정류장에 나가지 못하면 배차 주기인 1~1.5시간을 기다려야 했던 노선버스는, 부르면 평균 26분 만에 달려오는 영암콜버스로 바뀌어, 34분(=60분-26분) 대기시간을 단축했다.
1년에 16억8,000만원 노선버스 운영비는, 영암콜버스 도입 이후 11억6,000만원으로 줄어 5억2,0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냈다.
이런 통계적 효과에 더해 영암콜버스 이용자들은 설문조사에서 만족감을 밝혔다.
‘영암콜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항목에서 이용자 41%가 ‘매우 만족’을 표시했고, 중간 이상의 만족도를 밝힌 비율은 79%에 달한다.
만족한 사항으로는 ‘이용요금’ ‘친절한 기사님’이 각각 25%, ‘지정좌석제’ ‘출발/도착 시간의 정시성’이 각각 10% 순으로 집계됐다.
영암콜버스 이용한 이유로는 ‘출근·등교’ ‘퇴근·하교’가 각각 33%를 차지해 66%로 압도적이었고, ‘학원’ 이용도 11%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10대가 29%, 20대 23%를 차지하는 승객 연령 분포도로도 확인할 수 있어, 영암콜버스가 등·하교와 출·퇴근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영암콜버스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됐다. ‘배차가 되지 않아서’ 34%, ‘대기시간이 길어서’ 24%, ‘합승으로 인한 이동경로 및 도착시간 변경’ 13% 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떠올랐다.
영암군은 앞으로 실시간 이동 수요분석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이동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영암콜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농촌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으로도 더 편하고, 더 빠르고, 더 만족하는 대중교통 체계를 위해 혁신의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강조했다.
/김승봉 기자 ksb77@hanmail.net

노선버스에서 콜버스로 바꾼 영암군의 대중교통 혁신이, 하루 평균 탑승객 3배 증가, 대기시간 34분 단축, 연간 예산절감액 약 5억2,000만원의 성과를 냈다.
영암군(군수 우승희)이 4일 현대자동차(주) 셔틀사업팀과 ‘24년 영암 콜버스 성과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동안 영암콜버스 운영으로 축적된 자료, 올해 1/9~19일 삼호읍 영암콜버스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그 성과를 알리고 나선 것.
지난해 3월 영암군은 배차 간격 증가, 서비스 저하, 탑승객 감소, 운영 비용 증가 등 군내 버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개 고정 노선을 운행하던 버스 시스템을 수요응답형 콜버스 체계로 바꾸고 4대의 차량을 투입했다.
영암콜버스 시행 9개월 후인 지난해 12월까지, 하루 평균 버스 탑승객은 115명(2022년)에서 360명으로 3배가량 늘었다.
시간에 맞춰 정류장에 나가지 못하면 배차 주기인 1~1.5시간을 기다려야 했던 노선버스는, 부르면 평균 26분 만에 달려오는 영암콜버스로 바뀌어, 34분(=60분-26분) 대기시간을 단축했다.
1년에 16억8,000만원 노선버스 운영비는, 영암콜버스 도입 이후 11억6,000만원으로 줄어 5억2,0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냈다.
이런 통계적 효과에 더해 영암콜버스 이용자들은 설문조사에서 만족감을 밝혔다.
‘영암콜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항목에서 이용자 41%가 ‘매우 만족’을 표시했고, 중간 이상의 만족도를 밝힌 비율은 79%에 달한다.
만족한 사항으로는 ‘이용요금’ ‘친절한 기사님’이 각각 25%, ‘지정좌석제’ ‘출발/도착 시간의 정시성’이 각각 10% 순으로 집계됐다.
영암콜버스 이용한 이유로는 ‘출근·등교’ ‘퇴근·하교’가 각각 33%를 차지해 66%로 압도적이었고, ‘학원’ 이용도 11%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10대가 29%, 20대 23%를 차지하는 승객 연령 분포도로도 확인할 수 있어, 영암콜버스가 등·하교와 출·퇴근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영암콜버스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됐다. ‘배차가 되지 않아서’ 34%, ‘대기시간이 길어서’ 24%, ‘합승으로 인한 이동경로 및 도착시간 변경’ 13% 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떠올랐다.
영암군은 앞으로 실시간 이동 수요분석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이동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영암콜버스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농촌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앞으로도 더 편하고, 더 빠르고, 더 만족하는 대중교통 체계를 위해 혁신의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강조했다.
/김승봉 기자 ksb77@hanmail.net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담양군수 선거 등 4·2 재보궐선거 시작
- 동두천시-신한대, 지역 혁신 맞손
- 장수군, ‘2025 풍년기원 영농발대식’ 성황리 개최
- 장수군, 찾아가는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 교육 추진
- 순창군, 100억 규모 ‘농촌공간정비사업’ 최종 선정
- 순창군 보건의료원, 온기곤 신임 원장 취임…"지역사회 건강 증진 힘쓸 것"
- 순창군, 제2회 청소년어울림마당 'YF'…청소년 공연팀 모집
- 순창군의회, 2024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6명 위촉
- 남원보호관찰소 보호관찰위원 협의회 새 출발…양장욱 회장 취임
- 남원시, 미디어아트 '달빛정원' 개관…새로운 문화·관광 랜드마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상의, 산불 피해 복구 성금 8억원 기부
- 2"기술력 입증"…금호타이어, ‘BMW M 클래스’ 공식 후원
- 3현대카드, 대한항공 '밀리언 마일러' 전용 메탈 플레이트 공개
- 4한국앤컴퍼니, 전 구성원 소통하는 '프로액티브 콘서트' 개최
- 5하이트진로, 뉴질랜드산 ‘드라이랜드 소비뇽 블랑’ 출시
- 6어댑트 "쌀 활용 홈케어 마스크팩, 스킨케어 트렌드 자리잡아"
- 7올에프엔비, '족발야시장&무청감자탕' 42개 매장 론칭
- 8아이나비시스템즈, Lv. 4 자율주행 기술 개발 성과 선보인다
- 9KGM, 中 체리자동차와 SUV 공동 개발
- 10담양군수 선거 등 4·2 재보궐선거 시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