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 25% 관세’ 발효에…한숨 쉬는 철강업계
경제·산업
입력 2025-03-13 18:01:48
수정 2025-03-13 18:42:56
김효진 기자
0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예고한 ‘철강 수입품 25%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 적용되던 263만톤의 무관세 쿼터제가 폐지되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모습인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모든 국가의 수입 철강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하기로 하면서 철강업계의 고민이 커졌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12일 오후 1시1분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 파생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 적용되던 263만톤의 무관세 쿼터제도 폐지된 겁니다.
관세 부과에 따라 한국산 제품 가격은 25% 뛰게 됐습니다. 업계는 국내 철강업계가 부담하게 될 비용은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는 정부·철강협회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대응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뾰족한 묘수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
포스코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 제조원가 혁신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입니다.
현대제철은 2029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 현지에 강판 공장 건설을 검토 중입니다. 이 공장이 완공되면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차 미국 공장에 강판을 공급할 전망입니다.
업계에선 이번 무관세 쿼터제 폐지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움직임도 포착됩니다.
수출 물량 상한선이 사라진 만큼, 품질 경쟁력을 지닌 고급 철강재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에 더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겁니다.
대미 철강 수출국 1위와 3위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철강 관세 25%’와 ‘보편 관세 25%’까지 더해져 총 5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4위 수출국인 한국이 반사 이익을 볼 거란 기대도 나옵니다.
한편, 정부는 미국의 철강 25% 관세 부과로 강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 중 철강 통상 및 수입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 덤핑, 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 기능 강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총, '기업 혁신 및 투자 촉진을 위한 배임죄 제도 개선방안' 발표
- 현대백화점, 미아점 '로컬상회' 매장 오픈
- 한전KDN, 노사와 인사제도 개선 협약 체결
- 쿠팡, 강릉 가뭄 피해 돕기 위해 ‘생수 2리터 20만병’ 지원
- CJ프레시웨이, 인천공항 푸드코트 ‘고메브릿지’ 신규 점포 오픈
- "비비고 만두로 日 시장 잡는다" CJ제일제당, '치바 신공장' 본격 가동
- 폴란드영화제-보이치에흐 예지 하스 탄생 100주년 회고전 개최
- 이노메트리, 반도체 유리기판 컨퍼런스 참가
- 동아출판, 교과서 80주년 기념 이벤트 진행
- 박수경 듀오 대표, 유튜브 언더스탠딩 출연…“결혼은 새로운 출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총, '기업 혁신 및 투자 촉진을 위한 배임죄 제도 개선방안' 발표
- 2남원시, 청년에게 개소당 3억 지원…스마트팜 창업길 열어
- 3남원시, 환경부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선정
- 4수성구, ‘2025 가족친화사업 시상식 및 행복수성 가족운동회’ 개최
- 5수성구, 교육발전특구 중심으로 미래교육 선도도시 도약
- 6수성구, 호주 블랙타운시 ‘(가칭) 코리아수성가든’내 한글 문구 공모 진행
- 7대구지방환경청, LIG넥스원㈜ 구미하우스 녹색기업 재지정
- 8순창군, 600명 선수단 전북체전 출격 준비 끝
- 9순창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농업생명자원관리기관 지정
- 10장수군 여성리더, 건강·창의력 키우며 역량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