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發 방산주 동반 급락...이복현 발언도 도마에
금융·증권
입력 2025-03-21 17:56:33
수정 2025-03-21 19:30:10
김보연 기자
0개

방산 호황기에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두 배 넘게 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삼성SDI 등 상장사들의 기습적인 대규모 유상증자(유증) 단행에 주가가 10% 넘게 폭락하면서 주주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밸류업에 역행하는 기업들의 비지배주주 권익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금융당국의 중점심사도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단 비판이 나옵니다. 김보연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방위산업 대장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기습적인 대규모 유증 소식에 주가는 대폭락했습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포함한 한화그룹주(한화·한화투자증권·한화시스템·한화생명·한화오션·한화솔루션·한화갤러리아·한화비전)와 방산주(풍산·한국항공우주·LIG넥스원)들은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기존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 가치를 직·간접적으로 희석하는 유증은 악재로 받아들여져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증 규모는 3.6조로, 한국 증시 역사상 가장 큰 액숩니다. 예정 발행가는 발표 전일 종가보다 20%가량 낮은 60만5000원이고, 기존 주주들의 주가 가치 희석률은 13%에 달합니다.
지난 14일 2조원 규모의 유증을 발표한 삼성SDI의 주가도 당시 52주 신저가를 새로 썼고, 지난해 10월 2조5000억원의 유증 공시를 낸 고려아연도 하한가로 급락한 바 있습니다.
이들(삼성SDI·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중점심사 개시 전부터 "긍정적 결론"을 예고한 금융감독원의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엄청나게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주식 가치 희석화 우려, 일반주주 권익훼손 우려 등 심사 사유를 살펴보기 전부터 결과를 예단하게 하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지난달 비지배주주 권익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유증에 대해 좀 더 깐깐히 살피겠다는 목적으로 도입한 '유증 중점심사'의 역할을 무색하게 했다는 지적입니다.
투자자들은 "소액주주 대변하는 척하더니 유상증자 적극 찬성, 결국 이복현도 기득권"이라고 맹비난 하는 등 온라인 종목 토론방에 불만을 토로하고 나섰습니다.
증권가에서도 유증 시점과 방법이 아쉽다며 투자의견을 줄하향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boyeo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내 사외이사, 교수·관료 출신 쏠림 여전…"전문성 미흡"
- 2내주 3017가구 분양…"3기 신도시 대장지구 분양 시작"
- 3"히트작 우려 먹기?" 게임 업계에 부는 리마스터링 바람
- 4'외환보유액' 5년 만에 최저…한 달 사이 50억 달러 증발
- 5‘정치 테마주’에 출렁이는 증시…투자경고 종목 속출
- 6外心 잡아라…외국인 고객 모시기 나선 은행권
- 7라면 체험공간부터 키링까지…글로벌 소비자 공략 나선 농심
- 8'하이럭셔리'만 살아남는다…심화되는 명품 업계 양극화
- 9해남군, 제53회 어버이날 기념식 마무리
- 10보성군, 주민참여예산 제안사업 상시 접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