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공작기계부 매각…스맥-SNT 지분 경쟁 격화
경제·산업
입력 2025-07-16 18:53:14
수정 2025-07-16 18:53:14
이혜란 기자
0개

현대위아가 공작기계 사업부를 매각했는데, 인수에 참여하며 업계 2위로 부상한 스맥이 최근 3주간 최대주주가 세 차례나 바뀌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자금 여력이 부족해진 시점에 다른 그룹이 지분 매입에 나서며 경영권 분쟁이 벌어지고 있는 건데요.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계열사 현대위아의 공작기계 사업부를 매각했습니다. 정의선 회장 체제에서 단행된 첫 대규모 사업부 매각입니다.
이번 매각은 사모펀드 운용사 릴슨프라이빗에쿼티가 공작기계 전문업체 스맥과 함께 3400억 원 규모로 인수하면서 성사됐습니다.
스맥은 여기서 전략적투자자(SI)로 833억 원을 출자하고 인수금융을 조달해 총 1183억원을 투자했습니다.
스맥은 이번 인수로 업계 2위권으로 올라섰지만, 예상치 못한 경영권 분쟁에 휘말리게 됐습니다.
자동차 부품과 방산을 주력으로 하는 중견 제조업체 SNT그룹이 지난달 25일 스맥 지분 11.05%를 매입하며 최대주주에 올라섰기 때문.
스맥이 현대위아 공작기계 부문을 인수한 직후였습니다.
업계에선 SNT그룹이 스맥의 실탄 소진 시점을 노린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SNT그룹은 적대적 M&A 가능성을 부인하며 ‘단순 투자’라는 입장입니다.
스맥은 유상증자를 통해 최영섭 대표의 지분을 9.75%까지 늘리며 방어에 나섰고, SNT그룹의 지분율은 8.67%로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SNT그룹이 다시 지분을 추가 매입하면서 어제(15일) 기준 지분율 14.74%로 최대주주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이로써 3주 동안 최대주주가 세 차례 바뀌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진 겁니다.
이런 불확실성은 스맥이 인수한 현대위아 공작기계 사업부의 통합과 운영은 물론, 향후 사업 시너지 창출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韓·日, 美 해군 MRO 놓고 격돌…“경쟁력 강화 박차”
- 카카오, 2분기 ‘깜짝 실적’…매출·영업익 역대 최대
- 현대차·GM, ‘픽업·SUV·밴’ 공동 개발…중남미서 시너지
- ‘영업익 반토막’ 롯데웰푸드…수익성 회복 과제
- 대형건설사 상반기 분양…대우 ‘최다’ GS·롯데 ‘급감’
- “테슬라 이어 애플까지”…삼성 파운드리 본궤도 시동
- 스마일게이트, 업서드와 트리플A 신작 퍼블리싱 계약
- 김성환 환경부 장관, 낙동강 오염 오명 영풍 석포제련소 찾아 '질타'
- '민폐 카공족'에 칼 빼든 스타벅스…"프린터·칸막이 사용 제한"
- 김남근 의원 “MBK의 홈플러스 사태, 국민연금 손실 철저히 점검해야“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4인뱅' 출범..."한 고비 넘으면 속도 붙는다"
- 2韓·日, 美 해군 MRO 놓고 격돌…“경쟁력 강화 박차”
- 3카카오, 2분기 ‘깜짝 실적’…매출·영업익 역대 최대
- 4간편결제 빅3, '스테이블코인 삼국지' 개막…카카오·토스 TF 가동
- 5APR 화장품 대장주로…K뷰티 후발주자 고공행진
- 6현대차·GM, ‘픽업·SUV·밴’ 공동 개발…중남미서 시너지
- 7‘영업익 반토막’ 롯데웰푸드…수익성 회복 과제
- 8대형건설사 상반기 분양…대우 ‘최다’ GS·롯데 ‘급감’
- 9“테슬라 이어 애플까지”…삼성 파운드리 본궤도 시동
- 10스마일게이트, 업서드와 트리플A 신작 퍼블리싱 계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