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어로, 누리호 기술이전 받는다…"민간 우주 개발 주도 시대 열려"
경제·산업
입력 2025-07-25 16:02:03
수정 2025-07-25 16:02:03
김보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국내 독자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개발 기술이 오늘(25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전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2032년까지 누리호를 직접 제작하고 발사할 수 있는 통상실시권을 확보하게 됐다. 다만, 기술과 관련한 지식재산권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보유하며, 다른 기업에도 통상실시권을 줄 수 있는 비독점 계약이다. 기술이전료는 240억원이다. 이전되는 기술 문서는 1만6050건에 달한다. 누리호는 지난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3년에 걸쳐 항우연 주도하에 300여 민간기업이 참여해 함께 개발한 우주 발사체다.
정부 주도로 개발된 우주발사체 기술이 민간으로 넘어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생태계를 육성하는 기반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항우연이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과 끊임없는 개발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이번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누리호의 기술 및 비용 경쟁력을 지속 향상해 상업 발사서비스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누리호 기술 이전은 공공이 축적한 성과가 민간으로 확장되는 분수령이자 국내 발사체 산업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누리호 기술이 성공적으로 이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는 한편 올 하반기 누리호 4차 발사 준비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메타, 오픈AI 출신 자오셩자 수석과학자로 임명…“초지능 AI 이끈다”
- 尹 비상계엄 손해배상 판결, 광주 재판에 영향 주나
- 상반기 선박 매매시장 주춤…“보수적 매입 전략 필요”
- 美 시민권·H-1B 제도 규제 강화 전망
- 테슬라 “xAI 투자, 주주가 판단”…11월 주총서 표결 추진
- 정부, G20회의서 개도국 사회보호제도 논의
- 다시 주목 받는 비브람 파이브핑거스…셀럽 SNS에 잇따라 등장
- LG전자, 영업익 반토막…하반기 '질적 성장' 꾀한다
- “中·日 열연강판에 반덤핑 관세”…포스코·현대제철 ‘숨통’
- ‘美 수출형 LNG선’도 뚫었다…조선업계, 훈풍 지속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장수군, 장계·계남 공공임대주택 사업 본격화…2028년 준공 목표
- 2순창군, '민원처리 알림톡' 서비스 도입…군민 소통 더 빠르게
- 3임실군-영동군, 고향사랑기부로 자매결연 도시 간 '우애' 재확인
- 4장수군, 여름 휴가철 맞이 '국토대청결운동' 실시
- 5김건희 특검, 함성득 조사…‘공천 개입 의혹’ 관련
- 6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지금, 우리다
- 7메타, 오픈AI 출신 자오셩자 수석과학자로 임명…“초지능 AI 이끈다”
- 8尹 비상계엄 손해배상 판결, 광주 재판에 영향 주나
- 9상반기 선박 매매시장 주춤…“보수적 매입 전략 필요”
- 10美 시민권·H-1B 제도 규제 강화 전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