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 중국산 특수강 봉강 반덤핑 제소
경제·산업
입력 2025-08-04 09:15:49
수정 2025-08-04 09:15:49
김보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김보연기자] 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은 중국산 특수강 봉강에 대한 반덤핑(AD, Anti-Dumping) 조사 신청을 무역위원회에 접수했다고 4일 밝혔다.
중국산 특수강 봉강의 무분별한 국내 유입으로 ▲철강 스페셜티 특수강 봉강 산업 위협 ▲저가∙저품질 소재 확산에 따른 대한민국 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저해 등을 우려해 소재 주권 확보 차원에서 반덤핑 제소를 추진한 것이다.
특수강 봉강은 일반 철강 대비 고강도·경량화 특성을 지닌 철강 스페셜티로 주요 산업(자동차, 방산, 중장비, 우주∙항공, 원전)의 첨단 부품 및 안전 관련 핵심 분야에 적용되는 소재다. 대표적인 기술 집약적 철강 제품군에 속한다. 다품종 소량생산 특성상 국내 생산량은 전체 철상 생산량의 5%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특수강 봉강 수입량은 약 75만톤이며, 이 중 중국산이 약 67만톤으로 9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 특수강 봉강은 지난 2022년 국내로 45만톤가량 수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최근 2년새 물량이 약 50% 급증한 반면, 톤당 수입 단가는 24% 하락한 바 있다.
관련 피해는 국내 특수강 봉강 산업에만 국한되지 않을 전망이다. 일반 범용 철강재와 달리 스페셜티 소재인 특수강 봉강은 외관상으로는 품질 확인이 어려워 특수강 봉강을 핵심 소재로 사용하는 공급망 전반으로 품질 리스크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소규모 영세 업체 비중이 높은 부품∙장비 산업의 경우, 조달한 소재에 대한 품질 검사 및 이력 검증에 한계가 있어 직접적인 피해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기계∙부품∙장비 산업 전반의 구조적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위험성도 존재한다.
세아베스틸지주 관계자는 "최근 미국, 유럽, 인도 등 주요국이 중국산 특수강 봉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재를 강화하며 국내로 유입되는 특수강 봉강의 물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산·우주·항공 등 국가 전략 산업의 핵심 소재인 특수강 봉강 산업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 조치를 통해 소재 주권을 확보하고,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 경쟁력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 혼다,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서 모빌리티 제품·기술 공개
- CJ프레시웨이, 제4회 ‘자연스럽게 먹자’ 식습관 공모전 성료
- 도플소프트 ‘스마트무브’, 한강버스 실시간 길찾기 등 업데이트
- 삼성SDS, ‘AI 풀스택’ 역량으로 기업 고객 혁신 이끈다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구매 고객 95% "차량 만족해"
- LG전자, 식수 시설·세탁방 설치…나이지리아서 밀착형 사회공헌
- 증선위, SK에코플랜트 회계위반 '중과실' 판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지역민 삶에 실질적 도움 되는 정책 필요"
- 2양충모 전 새만금개발청장, 자전적 저서 '남원가는길 양충모' 출간
- 3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4“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5대구대, AI·SW 분야 과감한 교육 투자로 미래형 인재 양성 박차
- 6영남대, AI 튜터 도입으로 ‘초개인화 학습 혁신’ 앞당긴다
- 7영남이공대, 2025학년도 ‘지역사회봉사센터 봉사단’ 발대식 개최
- 8대구한의대, 진로개발센터 2025학년도 학과별 현장연계 교육과정 기린도전학기 발대식
- 9차규근 의원, 총수일가 문어발식 보수수령 제한하는 법인세법 발의
- 10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