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인공지능 기반 항만 인프라 디지털화 기술 개발 나서
영남
입력 2025-08-27 16:01:15
수정 2025-08-27 16:01:15
김정옥 기자
0개
국내 최대 규모로 개발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 도입 목표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산항 진해신항 조감도. [사진=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국내 최대 규모로 개발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에 도입을 목표로 인공지능(AI) 기반 항만 인프라 디지털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진해신항 개발은 부산항을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스마트 항만으로 조성하기 위해 오는 2045년까지 14조여원을 투입해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포트로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 정부의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의 핵심사업이다.
BPA는 부산항 진해신항 하역장비 통합제어시스템(ECS)과 해양인프라 디지털트윈을 구축하는 용역을 다음달부터 18개월 동안 추진한다.
지난해 4월 국내 최초의 완전자동화 부두인 부산항 신항 7부두 개장 후 자동화된 하역장비와 터미널 운영 시스템 간 유기적 연결 및 시스템 호환이 향후 과제로 논의돼 왔다.
BPA는 이번 용역을 통해 자동화부두 내 주요 하역장비 간 단일화된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축, AI 기반 작업 할당 및 스케줄링 기능을 도입해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의 하역 프로세스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 항만에 인접한 해상의 파고, 기후 등 해상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과 자료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해 공사와 터미널 운영 중 월파에 의한 해상 안전사고를 대비하고, 더 나아가 자율운항선박 시대에 대비한 해상 데이터 축적에 나선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AI 도입은 분야를 막론한 세계적인 큰 흐름"이라며 "국내 최초로 자동화부두를 도입한 노하우를 토대로 항만의 AI 전환, 디지털화에도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kjo57100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남이공대, 대구경북창업보육협의회 네트워킹 데이서 ‘3관왕’ 쾌거
- (재)iM뱅크장학문화재단, ‘2025년 경상북도 다둥이 장학금 전달식’ 개최
- 영남대,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국내 TOP5 올라
- CES 2026 '팀 부산' 2기 닻 올랐다…발대식 열고 '통합부산관' 공식 출범 알려
- 부산 사립유치원 3~5세 유아 내년부터 전면 무상교육
- BPA, '제24회 글로벌 스탠다드경영대상' 지속가능보고서 '대상'
- 경주시, 사상 최대 2조 1천억 내년도 예산안 편성…서민경제·포스트 APEC 집중 투자
- 서라벌문화회관 외벽 밝힌 야간조명…‘밤이 아름다운 경주’ 완성
- 경주 SMR국가산업단지, ‘대한민국 100대 지역투자유망사업’ 선정
- 경주시, “핵융합 연구시설, 원자력 인프라·지질 안정성 기반에 최적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미엔느, 2025 서울 카페쇼 참가사 대상 '카페 장비 단기 렌탈' 지원
- 2대우건설, 의정부 ‘탑석 푸르지오 파크7’ 분양 중
- 3영남이공대, 대구경북창업보육협의회 네트워킹 데이서 ‘3관왕’ 쾌거
- 4(재)iM뱅크장학문화재단, ‘2025년 경상북도 다둥이 장학금 전달식’ 개최
- 5영남대, ‘2025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국내 TOP5 올라
- 6두산건설 창립 65주년 역작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션시티’, 고객 만족도 극대화
- 7임실군, 국화재배 과학화로 2026 가을 전시 강화
- 8CES 2026 '팀 부산' 2기 닻 올랐다…발대식 열고 '통합부산관' 공식 출범 알려
- 9삼성물산, 리조트부문 사장에 송규종 부사장 내정
- 10"향후 10년의 의지"…제네시스, ‘GV60 마그마’ 최초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