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구미 국가산단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선정. . .1500억원 투입

전국 입력 2025-09-17 10:39:13 수정 2025-09-17 10:39:13 김아연 아나운서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태양광&BESS기반, 입주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 및 ESG 경영 선도

[사진=경북도]

[서울경제TV 경북=김아연 기자] 경상북도 구미 국가산업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5년 탄소중립산단 대표모델 구축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번 성과로 경북은 탄소 중립 선도 지역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이 사업은 전국 에너지 다소비 산단 30곳 중 1곳을 선정해 국비 500억 원, 지방비 500억 원, 민간 컨소시엄 300억 원, 참여기업 200억 원 등 총 1,500억 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글로벌 탄소 규제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사업은 SK이노베이션 E&S,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북본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구미전자정보연구원 등 5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올해 9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4년 3개월간 추진된다.

구미 국가산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BESS)를 연계한 가상발전소(VPP) 구축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ESS 실증 기반 조성 △산업단지 에너지 전환 지원 및 친환경 설비 보급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산단 내 30MW 태양광 발전소와 50MWh 이상 BESS를 연계한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해 기업들의 RE100 달성을 돕고, 실시간 전력 거래가 가능한 탄소중립형 전력거래시스템을 마련한다. 또한 재사용 배터리를 활용한 이동형 BESS 설비 구축으로 재자원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시제품 제작과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 개발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참여기업에는 에너지 전환 컨설팅과 ICT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해 친환경 설비 도입을 유도한다. 글로벌 규제 대응 차원에서는 DPP(디지털 제품 여권), MRV(온실가스 측정·보고·검증) 체계 구축을 지원해 도내 기업들이 국제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인공지능(AI)·반도체를 품은 구미 국가산단이 재생에너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에 앞장서는 RE100 산단으로 발돋움할 것”이라며 “경북이 탄소중립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미래 세대에 더 나은 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탄소중립 선순환 모델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oulanchor24@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아연 아나운서 기자

soulanchor24@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