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美·EU 관세 폭탄 ‘휘청’…특단 대책 나온다

경제·산업 입력 2025-10-10 18:07:03 수정 2025-10-10 18:07:03 이지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국내 철강업계가 미국의 50% 고율관세에 더해 유럽연합(EU)의 관세 부담도 가중될 전망입니다. 우리 철강의 최대 수출시장인 EU는 수입 철강에 대한 무관세 물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는 미국과 같은 50%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식화했는데요. 미국과 EU의 고율 관세 폭탄에 국내 철강 업계의 한숨이 깊어지는 모습입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EU 집행위원회가 지난 7일(현지 시각) ‘유럽 철강 업계 보호 대책’ 초안을 발표하고, 철강 무관세 쿼터 총량을 지난해보다 47% 줄인 1830만t(톤)으로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선 기존 25%에서 50%로 높아진 관세가 적용됩니다.
무관세 총량이 절반가량 줄어드는 만큼 한국을 비롯한 주요 수출국의 쿼터도 대폭 삭감될 전망.

업계에 따르면 한국이 작년 EU에 수출한 철강은 총 393만t으로, 튀르키예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물량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초안은 내년 6월 말 종료 예정인 현행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의 연장·개편 성격으로, 회원국 투표를 거쳐 적용될 전망입니다.

여기에 국내 철강업계는 EU가 내년부터 시행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
CBAM은 철강·시멘트·알루미늄 등 탄소 다배출 품목에 대해 EU 역내 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 비용을 부과하는 일종의 ‘탄소 관세’를 의미합니다. 

내년 1월부터 이 제품들을 EU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은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 정보를 현지 수입업자에게 제공하고, 수입업자는 이를 바탕으로 인증서를 구매해야 합니다. 우리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EU는 CBAM 적용 대상을 세탁기와 자동차 부품, 산업용 기계 등 범용 공산품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실이 된다면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

정부는 국내 철강업계를 보호하기 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업통상부는 오늘(10일) 민관 합동 대책 회의를 열어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르면 이달 중 대책이 발표될 예정인데, 글로벌 공급 과잉에 대응한 품목별 대응 방향 정립과 불공정 수입에 대한 통상 방어 강화, 수소 환원 제철·특수탄소강 등 철강산업의 저탄소·고부가 전환 투자 확대 지원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철강 기업,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협업해 약 4000억 원의 지원 효과를 낼 수 있는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는 등 철강 수출기업의 애로 해소 방안들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는 방침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지영 기자

easy@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