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개인판매 두 달 연속 감소… ‘DLF사태’ 하나·우리은행 급감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해외 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논란의 중심에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판매가 급감했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8월 말 기준 26조3,983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5,893억원 줄었다. 지난 7월 382억원 감소한 것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지난 8월 감소 폭은 2012년 8월(-6,705억원)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기 전까지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최대치(6월 말 27조258억원)를 경신해왔다. 그러나 지난 7월 사모펀드 운용사 라임자산운용의 자전거래를 통한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등이 제기된 데 이어 ‘DLF 사태’까지 터지며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쌓여 판매가 증가세가 꺾였다. 실제로 사모펀드 판매회사 중 DLF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KEB하나은행의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6월 말(3조2,756억원)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7월(-1,953억원), 8월(-1,815억원) 두 달 연속 줄었다. 우리은행 역시 6월 말 2조9,111억원에서 7월 말 2조9,40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8월 말에는 2조5,299억원으로 한 달 사이 4,101억원이 줄어들었다.
다른 은행들의 감소세에 비해 유독 두드러진 감소세는 DLF 사태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신한은행·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 등의 판매 잔액은 7~8월 두 달 동안 각각 71억원, 456억원, 325억원 줄어드는데 그쳤고, 국민은행·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미래에셋대우 등은 오히려 증가했다.
사모펀드 유형별로는 최근 문제가 된 DLF와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파생형 상품의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파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6월 말 5조4,24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7월 말 5조3,506억원, 8월 말 5조786억원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주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과 부동산형의 잔액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된다.
한편, 사모펀드와 달리 공모펀드는 이 기간 동안 개인 투자자 대상 판매 잔액이 계속 증가해 6월 말 87조9,000억원에서 8월 말 89조6,000억원으로 규모가 커졌다. /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엔씨소프트, 엔씨패밀리존에서 애니메이션 OTT ‘라프텔’ 서비스 시작
- 2신세계그룹 2026년 신입사원 공개 채용…인턴십 없이 최종 선발
- 3지마켓·알리바바 손잡아…한국 이커머스 '삼파전' 되나
- 4코인원, 컴투스 신작 ‘더 스타라이트’와 제휴 이벤트 진행
- 5한화그룹, 하반기 3500명 채용…"청년 일자리 창출 앞장"
- 6GM, 中 시장서 다시 시동?…"합작법인 투자 연장 협상 중"
- 7현대百, 에이프 국내 독점 판권 계약…더현대서울 1호점 오픈
- 8CJ제일제당 ‘퀴진케이’, 전통주 ‘윤주당’과 팝업 오픈
- 9중기부, 'AI·딥테크 유니콘' 육성 간담회 개최
- 10카카오모빌,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 ‘자율주행 경쟁력 강화’ 협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