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개인판매 두 달 연속 감소… ‘DLF사태’ 하나·우리은행 급감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해외 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논란의 중심에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판매가 급감했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8월 말 기준 26조3,983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5,893억원 줄었다. 지난 7월 382억원 감소한 것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지난 8월 감소 폭은 2012년 8월(-6,705억원)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기 전까지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최대치(6월 말 27조258억원)를 경신해왔다. 그러나 지난 7월 사모펀드 운용사 라임자산운용의 자전거래를 통한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등이 제기된 데 이어 ‘DLF 사태’까지 터지며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쌓여 판매가 증가세가 꺾였다. 실제로 사모펀드 판매회사 중 DLF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KEB하나은행의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6월 말(3조2,756억원)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7월(-1,953억원), 8월(-1,815억원) 두 달 연속 줄었다. 우리은행 역시 6월 말 2조9,111억원에서 7월 말 2조9,40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8월 말에는 2조5,299억원으로 한 달 사이 4,101억원이 줄어들었다.
다른 은행들의 감소세에 비해 유독 두드러진 감소세는 DLF 사태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신한은행·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 등의 판매 잔액은 7~8월 두 달 동안 각각 71억원, 456억원, 325억원 줄어드는데 그쳤고, 국민은행·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미래에셋대우 등은 오히려 증가했다.
사모펀드 유형별로는 최근 문제가 된 DLF와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파생형 상품의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파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6월 말 5조4,24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7월 말 5조3,506억원, 8월 말 5조786억원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주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과 부동산형의 잔액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된다.
한편, 사모펀드와 달리 공모펀드는 이 기간 동안 개인 투자자 대상 판매 잔액이 계속 증가해 6월 말 87조9,000억원에서 8월 말 89조6,000억원으로 규모가 커졌다. /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희승 의원,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법' 개정안 발의
- 2남원시, 지역특화형 친환경 한옥호텔 '명지각' 개관
- 3노관규 순천시장, 치유도시 '순천' 도약 선언
- 4원강수 원주시장, 민선8기 출범 3주년 맞아 현장 소통 행보
- 5'취임 3주년' 최경식 남원시장 "공약 80% ↑ 이행…제2중경 유치 총력"
- 6이정린 전북도의원 "낙후된 산촌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해야"
- 7전주시의회, '대자보 도시가 전주의 미래' 공론의 장 마련
- 8"소통중심 행정, 최우선 가치로"…이성호 신임 남원시 부시장 취임
- 9'취임 3주년' 전춘성 진안군수 "민생 최우선"…농촌 일손 돕기 '팔걷어'
- 10무주군, 출범 3주년 기념행사…“무주다운 무주, 행복한 군민 실현 다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