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텅빈 CGV, 상영관 30% 감축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영화산업이 붕괴 직전까지 내몰리자 CJ CGV가 전체 상영관의 30%를 감축하고 신규 출점을 중단합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관객이 급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차료에 대한 부담은 지속적으로 커지자 생존을 위해 내놓은 특단의 자구책입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기자]
CJ CGV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매출 하락 등의 영향으로 상영관을 30% 축소합니다.
CGV는 앞으로 3년 이내에 전국 직영점 119개 중 35∼40개를 줄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운영이 어려운 지점부터 임대인들과 임차료 감면 협상을 벌이고, 손실이 큰 지점에 대해서는 영업을 중단하거나 폐점합니다.
앞서 CGV는 코로나19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게 되자 올해 초부터 임차료 인하와 유예 협상을 벌여왔지만, 큰 진전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GV는 협상이 이뤄지질 않을 경우 법적 수단을 검토하고, 이미 임대차 계약을 마치고 개점을 앞두고 있는 신규 지점이라도 개점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하며, 신규 점포 개발도 전면 중단합니다.
CGV의 이번 결정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영화 산업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CGV 관계자
“지난 2월부터 비상경영체제를 도입하고 허리띠를 졸라맸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올해 관객수하고 매출이 지난해 대비 70%가까이 급락한 가운데 고정비 부담은 오히려 가중되면서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기존 상영관의 경우 영화 라인업과 예상 관객 규모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합니다.
국내 및 할리우드 대작 영화들이 개봉을 연기한데 따른 것으로, 주중에는 상영 회차를 대거 줄이며 관람객이 현저히 줄어드는 상영관은 주말에만 문을 엽니다.
앞서 CGV는 전날에도 경영난을 이유로 오는 26일부터 좌석 차등제를 없애고 관람료를 1,000원에서 2,000원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앞으로 CGV는 경영난 타개를 위한 자구책으로 비수익 자산을 매각하고, 비효율 사업에 대해 재검토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
[영상취재 허재호/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제 2의 성수 되나?”…광장시장, MZ·외국인 ‘놀이터’ 되다
- 불황 속 ‘가성비 PB’ 인기…CU, 글로벌 유통 확대
- 전시장의 변화…르노코리아 “車 판매 넘어 일상 공간으로”
- 정기선 HD현대 회장 승진…‘3세 경영’ 본격화
- 삼성, 美 그레일에 1550억 베팅…헬스케어 강화
- 네이버, 로봇 산업 광폭 행보…피지컬 AI 실현할까
- [단독] 현대엔지 플랜트본부 구조조정?…“1000여명 유급 휴직”
- '르엘 어퍼하우스' 프라이빗 멤버십, '카펠라 더 클럽' 오픈
-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사망사고 깊이 사과"…"안전관리 전면 재점검"
- 청소년 국제환경연대 대통령실에 서한…“낙동강 오염 해결해 주세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아이넷방송 박준희 회장, 세계문화예술올림픽조직위 상임고문 위촉
- 2달성군, 2025 청소년 축제 개최…‘달성의 빛날 미래, With Youth’
- 3달성군, 생활권 맞춤 가로수 전정으로 거리 미관 개선
- 4대구 달성군, 출산·양육가구 주택 취득세 최대 500만원 감면
- 5달성군, 추석 연휴 ‘응급진료체계’ 가동…의료 공백 없는 안정적 진료체계 구축
- 6대구시, ‘2025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국제포럼’ 개최…세계 15개국 문화도시 한자리에
- 7대구시, 경력단절여성 위한 ‘찾아가는 여성일자리 굿잡(Good Job)’ 운영
- 8대구시, 한·독·일 협력 ‘데이터 스페이스 공동관’ 운영…글로벌 데이터 산업 허브 도약
- 9대구시, 11월 5일 ‘대구도서관’ 정식 개관…첨단 ICT 도입한 스마트 문화공간으로 탄생
- 10대구시, AI로봇 수도로 도약…‘2025 대구국제로봇산업전’ 22일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