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일상과 밀접한 금융상품 중 하나가 보험인데요. 이런 저런 보험에 가입한 사람은 많지만 그 보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를 보장해주는지 제대로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땐 보험약관을 찾아봐야 할 텐데 옛날에 가입한 보험의 약관을 어디 뒀는지 모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험사 홈페이지의 공시를 들어가면 약관은 물론 적용이율이나 수익률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앵커리포트입니다.
[기자]
최근 병원치료를 받은 A씨는 10년 전 가입한 보험상품이 해당 치료를 보장하는지 알고 싶었지만 약관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보험사 홈페이지 ‘상품공시실’에 해당 보험사의 모든 약관이 공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가입한 약관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B씨는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연금보험에 가입하고 싶어 인터넷으로 검색해봤지만 너무나 많은 광고성 정보로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마침 ‘보험다모아’ 사이트에서 다양한 연금보험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연금보험을 찾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같은 금융소비자들의 보험상품 공시제도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알아두면 유익한 보험상품 공시제도를 안내했습니다.
본인이 가입한 보험상품의 약관을 분실했을 경우 보험사 홈페이지 ‘상품공시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매월 이율이 변하는 ‘금리연동형 보험’의 적용이율이나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싶을 때는 보험사 홈페이지 ‘적용이율 공시’를 통해 확인하면 됩니다.
펀드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변액보험의 수익률 역시 보험사 홈페이지 ‘변액보험 공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험 가입시 나에게 적합한 보험상품을 찾고 싶다면 생명보험협회 또는 손해보험협회 홈페이지의 ‘상품비교공시’나 ‘보험다모아’ 사이트를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정기보험, 종신보험과 같이 사망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은 보험사가 정한 건강상태 요건을 충족하면 보험료를 할인해주는데 생보협회, 손보협회 홈페이지의 ‘건강관련 할인제도 공시’를 통해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실손의료보험의 경우 매년 보험료가 갱신되기 때문에 생보협회, 손보협회 홈페이지의 ‘실손의료보험 보험료 인상률 및 손해율 공시’에서 달라지는 보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양한나입니다. /one_sheep@sedaily.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