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모바일 뱅킹으로 쉽고 빠르게 돈을 보내고, 스마트폰에 설치된 각종 페이 서비스로 결제하는 모습. 이제는 낯선 풍경이 아니죠. 북한도 이런 모바일 금융 확산에 대해 관심이 많다고 합니다. 아직 먼 이야기로 느껴질 수도 있지만 우리 정부나 금융 등 관련 업계에서는 대북제재 완화 이후를 내다보고 차근차근 대비에 나서야 할 것 같습니다. 이아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북한 금융 관련 포럼에서는 북한이 이동통신업과 금융업을 접목한 ‘모바일 금융’ 활성화를 통해 경제 번영에 나서고 싶어 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경제개발을 위해 금융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김정은 위원장이 이미 몇 차례 강조한 바 있고,
특히 북한이 발표하는 경제 연구지에 구체적으로 모바일 금융 활성화를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에 관한 내용까지 실리면서 이 같은 분석이 힘을 받는 겁니다.
북한은 현재 인구 2,500만 명 가운데 5분의1이 넘는 600만명 가량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정도 인프라로 모바일 금융을 얘기하기는 어렵지만 중국이 신용카드 사용 단계를 생략하고 현금에서 바로 페이 결제로 뛰어넘어 알리페이 등 핀테크 산업을 급격히 발전시킨 것처럼, 북한도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선 모바일 결제 인프라 구축이 가장 시급하고, 모바일 금융 산업을 할 수 있도록 전자금융거래법과 같은 관련 법 제정도 뒤따라야 합니다.
모바일 금융과 관련된 조직 마련도 필요합니다.
북한이 디지털·모바일 관련 조직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바꿔말해 대북제재 완화 이후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싱크]
조봉현 IBK 북한경제연구소 부연구소장
“개성공단이 만약에 재개가 된다고 하면, 여기에 남북한 공동의 모바일 금융 센터를 구축해서 같이 공동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제안을 드립니다.”
전문가들은 정부는 물론 금융 등 관련 업계가 지금부터라도 북한의 모바일 금융 인프라 구축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 ara@sedaily.com
[영상취재 이창훈/ 영상편집 이한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