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금리는 계속 오를 전망이고, 내년부터 2금융권에도 깐깐한 가계부채 관리지표가 도입돼 돈 빌리기가 한층 더 어려워집니다.
정부가 청년창업 분야와 자영업자, 제조업에 대한 다양한 금융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는데 정작 일반 금융소비자와는 큰 관련이 없습니다.
일반 금융소비자 입장에서 내년에 기대해볼 만한 변화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정훈규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금융회사 파산 때 예금자의 돈을 보호해 주는 예금보험공사가 내년부터 일반 금융소비자와 더 가까워집니다.
예보는 내년 착오송금 구제사업을 추진해 소비자가 잘못 이체한 돈도 보호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은행에 신고된 착오송금 사례 9만2,000건 중 돌려받지 못한 경우가 5만 2,000건으로 절반이 넘습니다.
계좌이체 때 송금액이 소액인 경우가 많아, 소송을 하느니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겁니다.
앞으로는 소비자가 신청하면 예보가 이 돈 대부분을 먼저 지급해 주고, 소송 등 복잡한 회수를 대신해 줍니다.
은행들은 소비자들이 대출 조건을 더 유리하게 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등 서비스를 강화합니다.
우선 내년부터 중도상환수수료 면제 시점이 되면 은행이 소비자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대개 대출 후 3년이 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되지만, 소비자들이 알지 못해 더 좋은 조건으로 갈아탈 기회를 놓치거나 굳이 상환을 미루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 휴일에도 대출 상환이 가능해지고,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이나 모바일뱅킹을 통해 금리인하 요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e-클린보험 시스템이 도입돼 보험을 권유한 설계사가 믿을 만한지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도 불완전 판매율을 공개하고 있지만, 정보가 보험사별로 돼 있어 정작 내가 만난 설계사의 신뢰도를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e-클린보험에는 설계사의 기본 정보는 물론이고 불완전 판매율, 계약 유지율 등 신뢰도와 관련된 정보가 담길 예정입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cargo29@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