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불예금 증가율 8년 만에 최저…정기예금 금리 올라 매력 떨어진 듯

증권·금융 입력 2019-01-18 09:42:00 수정 2019-01-18 09:42:00 정훈규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수시입출금의 대표적인 예금인 요구불예금 증가속도가 두드러지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오르며 정기예금 매력이 커져 요구불예금에서 저축성예금으로 돈이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국내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194조5,44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작년 3분기 증가율은 2010년 3분기(-1.6%) 이후 가장 작았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지급을 원하면 언제든지 조건 없이 지급하는 예금을 말한다. 현금과 유사한 유동성을 지녀 통화성예금으로도 통한다. 요구불예금은 2014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꼬박꼬박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정기 예·적금 매력이 떨어졌고 이에 따라 수익률이 높은 다른 투자 수단을 찾아 나서는 대기성 자금이 몰려들어서다. 2015년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1%대로 떨어지고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부동산 규제를 풀면서 이 같은 현상은 더 뚜렷해졌다. 2015년 3분기에는 요구불예금 증가율이 32.1%까지 치솟으며 2000년대 이후 처음으로 30%대에 올라서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요구불예금 증가속도는 서서히 하락했다. 2017년 4분기 8.0%로 한 자릿수로 내려가더니 작년 1분기 6.2%, 2분기 6.1%에 이어 3분기에도 증가율이 더 떨어졌다. 반면 정기 예·적금과 같이 일정 기간 은행에 예치한 후 돌려받을 수 있는 저축성 예금은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 3분기 말 저축성 예금 잔액은 1,175조1,612억원으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저축성 예금 증가율은 2015∼2017년 4∼5%대에 머물렀다가 지난해에는 6%대로 뛰었다. 요구불예금이 줄고 저축성예금이 증가하는 것은 금리 인상으로 요구불예금으로 묶여 있던 부동자금이 저축으로 이동한 결과로 보인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예금은행의 순수저축성 예금 가중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81%로 2015년 1분기(2.0%) 이후 최고였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