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불예금 증가율 8년 만에 최저…정기예금 금리 올라 매력 떨어진 듯
증권·금융
입력 2019-01-18 09:42:00
수정 2019-01-18 09:42:00
정훈규 기자
0개
수시입출금의 대표적인 예금인 요구불예금 증가속도가 두드러지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오르며 정기예금 매력이 커져 요구불예금에서 저축성예금으로 돈이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국내은행의 요구불예금 잔액은 194조5,446억원으로 1년 전보다 2.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작년 3분기 증가율은 2010년 3분기(-1.6%) 이후 가장 작았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지급을 원하면 언제든지 조건 없이 지급하는 예금을 말한다. 현금과 유사한 유동성을 지녀 통화성예금으로도 통한다.
요구불예금은 2014년 3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꼬박꼬박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정기 예·적금 매력이 떨어졌고 이에 따라 수익률이 높은 다른 투자 수단을 찾아 나서는 대기성 자금이 몰려들어서다.
2015년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1%대로 떨어지고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부동산 규제를 풀면서 이 같은 현상은 더 뚜렷해졌다. 2015년 3분기에는 요구불예금 증가율이 32.1%까지 치솟으며 2000년대 이후 처음으로 30%대에 올라서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요구불예금 증가속도는 서서히 하락했다.
2017년 4분기 8.0%로 한 자릿수로 내려가더니 작년 1분기 6.2%, 2분기 6.1%에 이어 3분기에도 증가율이 더 떨어졌다.
반면 정기 예·적금과 같이 일정 기간 은행에 예치한 후 돌려받을 수 있는 저축성 예금은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다.
작년 3분기 말 저축성 예금 잔액은 1,175조1,612억원으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저축성 예금 증가율은 2015∼2017년 4∼5%대에 머물렀다가 지난해에는 6%대로 뛰었다.
요구불예금이 줄고 저축성예금이 증가하는 것은 금리 인상으로 요구불예금으로 묶여 있던 부동자금이 저축으로 이동한 결과로 보인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예금은행의 순수저축성 예금 가중평균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81%로 2015년 1분기(2.0%) 이후 최고였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은행권, 여신 보수화 강화…내년 대출 더 죈다
- 네이버-두나무 합친다…'20조 핀테크 공룡' 탄생
- 한은 기준금리 연 2.5% 동결…환율·집값 상승 고려
- 제노코,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차세대중형위성에 'X-band Transmitter' 탑재
- NH농협은행, 내년 조직개편…AX·생산적 금융에 초점
-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중동 의약품 보안기업과 위조방지 물품 공급 계약
- 파미셀, 서울아산병원과 첨단재생의료 CMO 계약 체결
- 하나저축은행, 하나더소호 동행 적금 출시
- 업비트, 445억 규모 해킹 사고…입출금 서비스 중단
- KB금융, 광복 80주년 '다시 쓰는 대한이 살았다' 시상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