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연립·다세대주택 가격 내림세 뚜렷…집값 서울 1위·제주 2위

전국 빌라(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이 지난 2016년 정점을 기록한 이후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13일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이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연립·다세대주택 중간가격(=중위가격, 이하 중간가격)은 2016년 1억6,500만원으로 고점을 찍은 이후 지속해서 하락하면서 올해 1억4,000만원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지방은 다른 가격 움직임을 보였다. 수도권은 올해 들어 가격이 소폭 상승하며, 1억5,800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지방은 1억원 이하로 하락하면서 9,800만원 수준이다.

연립·다세대주택 중간가격을 분기별로 세분화해서 보면 수도권도 지난해 4분기부터 하락 전환한 모습이다. 수도권은 지난해 하반기 아파트 가격 급등 영향으로 거래가격 상승이 나타났으나 지난해부터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지방은 지난해 4분기 9,915만원까지 상승한 중간가격이 올해 내림세를 보이면서 2분기 들어 8,900만원으로 하향 조정된 모습이다.
시도별 연립·다세대주택 실거래 중간가격은 올해 서울이 2억2,000만원으로 가장 높고, 제주가 2억1,600원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비 올해 가격 상승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로 3,350만원 상승했다.
직방 관계자는 “앞으로 서울 도심의 공급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로 정부 정책이 전환될 경우 개발 차익 목적의 투자 수요 유입으로 가격 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며 “연립·다세대주택의 단기적 가격 불안은 정책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 생존 위기 몰린 석화업계…‘4사4색’ 고비 넘기
- SKT, 1분기 ‘선방’…“2분기 해킹 여파 본격화”
- HMM, 영구채 완전 청산…새 주인 찾기 ‘잰걸음’
- 한국MSD,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20곳과 기술이전 등 파트너십 체결
- 감동공장, AI로 제작 시간 40% 단축…글로벌 교육 시장 진출 속도
- 마드라스체크, 액션파워와 MOU 체결…"AI 음성인식 기술 협업"
- 진에어, 임직원 자녀 초청 '안전 체험' 실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맑음
2025-05-12(월) 00:00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교육청, 유치원 교원·보육 교직원 전문성 강화 나서
- 2기장군, 도서관 지혜학교 '길 위의 인문학' 공모 선정돼
- 3하이에스트-CS관광호텔-아시아문화콘텐츠개발원, 삼자 업무협약
- 4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5전교조 광주지부, 미래세대 위한 5⋅18민주화운동 수업 제안
- 6‘통합 30주년’ 맞은 사천시…‘사천 방문의 해’ 선포
- 7더본코리아, 뻥튀기 상장으로 주관 증권사 배만 불렸다?
- 85⋅18문학상 본상 수상작, 한정현 작가 소설집 '쿄코와 쿄지' 선정
- 9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10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공지사항
더보기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
- 20:00주식포맨
생방송 백민희 PD 오예진 MC
- 21:00BUY킹스탁
생방송 박아인 PD 오예진 MC
- 22:00神들의 매매신호
생방송 박아인 PD 정유현 MC
- 23:00해선시대
생방송 백민희 PD 정유현 MC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