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개인판매 두 달 연속 감소… ‘DLF사태’ 하나·우리은행 급감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해외 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논란의 중심에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의 판매가 급감했다.
24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8월 말 기준 26조3,983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5,893억원 줄었다. 지난 7월 382억원 감소한 것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지난 8월 감소 폭은 2012년 8월(-6,705억원)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이기 전까지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최대치(6월 말 27조258억원)를 경신해왔다. 그러나 지난 7월 사모펀드 운용사 라임자산운용의 자전거래를 통한 펀드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 등이 제기된 데 이어 ‘DLF 사태’까지 터지며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이 쌓여 판매가 증가세가 꺾였다. 실제로 사모펀드 판매회사 중 DLF 사태의 중심에 서 있는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감소 폭이 두드러졌다. KEB하나은행의 개인 투자자 대상 사모펀드 판매 잔액은 6월 말(3조2,756억원)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 7월(-1,953억원), 8월(-1,815억원) 두 달 연속 줄었다. 우리은행 역시 6월 말 2조9,111억원에서 7월 말 2조9,40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8월 말에는 2조5,299억원으로 한 달 사이 4,101억원이 줄어들었다.
다른 은행들의 감소세에 비해 유독 두드러진 감소세는 DLF 사태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신한은행·신한금융투자·삼성증권 등의 판매 잔액은 7~8월 두 달 동안 각각 71억원, 456억원, 325억원 줄어드는데 그쳤고, 국민은행·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미래에셋대우 등은 오히려 증가했다.
사모펀드 유형별로는 최근 문제가 된 DLF와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파생형 상품의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개인 투자자에게 팔린 파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은 6월 말 5조4,24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찍은 뒤 7월 말 5조3,506억원, 8월 말 5조786억원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주식형 사모펀드의 판매 잔액과 부동산형의 잔액이 늘어난 것과는 대조된다.
한편, 사모펀드와 달리 공모펀드는 이 기간 동안 개인 투자자 대상 판매 잔액이 계속 증가해 6월 말 87조9,000억원에서 8월 말 89조6,000억원으로 규모가 커졌다. /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투자증권, '중개형 ISA 시즌3' 이벤트 오픈
- 광주은행, 외국인 유학생 전용 신용대출 상품 출시
-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2025년 활동보고서' 발간
- KB국민은행, 조직개편 실시… 포용금융·시니어 서비스 강화 나선다
- 손오공, 한영철 대표 임총서 선임…“사업 경쟁력 강화”
- 우리은행, 삼성카드와 함께 상품출시·공동 마케팅 나선다
- 케이뱅크, K-STABLE로 디지털자산 진출 박차…스테이블코인 상표권 12건 출원
- 신한금융, 10% 이상 가계대출 금리 일괄 인하…7만여 명 대상
- 美 증시, 포트 재편 흐름 속 혼조 마감
- 한화투자證, 비상장사 투자로 IB 활로 모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 대표할 비만신약 이름은? 한미약품, 네이밍 공모전 개최
- 2NH투자증권, '중개형 ISA 시즌3' 이벤트 오픈
- 3BGF리테일, 오콘과 아이CU 얼라이언스…아동안전 확대 ‘맞손’
- 4브이티, ‘마그네슘 인공 마이크로 니들 기술’ 美 특허 출원
- 5알럭스, 럭셔리 헤어 브랜드 ‘오리베’ 신규 입점
- 6한국거래소, 부산 해운대구 KRX통통꿈놀이터 17호 완공
- 7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도 앱에서 장내채권 사고판다
- 8KOTRA, AI 기반 수출지원 고도화..."스타트업과 개방형 혁신"
- 9롯데百, ‘롯데호텔 프리미엄 보양식’ 팝업 진행
- 10국내 3대 신용평가사, 현대로템 신용등급 일제히 상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