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55세부터 가입…카드 포인트 현금화

[앵커]
올해 금융권을 돌아보면 카드 수수료 인하부터 은행권 DLF 사태, 그리고 세 번째 인터넷전문은행 탄생까지 굵직굵직한 이슈들이 많았는데요. 이틀 뒤면 시작되는 새로운 해에도 많은 변화가 예고됐습니다. 2020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고현정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2020년부터 금융 소비자들의 금융 접근성이 높아지고 기업에 대한 생산적 금융이 강화됩니다.
먼저, 주택연금 가입연령이 인하돼 부부 중 연장자가 55세 이상이라면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됩니다.
또, 1월부터 연금계좌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가 400만원에서 최대 600만원으로 확대되고 ISA만기계좌도 연금계좌로 전환할 수 있게 돼 연간 총 납입한도도 늘어납니다.
특히 오는 5월 27일부터는 뉴질랜드, 일본, 태국, 호주 등 아시아 5개국간 펀드 교차판매 절차를 간소화한 ‘아시아 펀드 패스포트’가 시행돼 투자자의 선택권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오늘(30일)부터 여러 카드사에 등록된 자동납부 내역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고 새해 첫날부터는 법인이나 외국인의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해집니다.
올 하반기부터는 모든 카드사 포인트를 원하는 계좌로 한번에 이체할 수 있게 되며, 개인신용평가 체계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금융당국은 또한, 미래 성장성 있는 신규 상장기업의 상장비용 절반을 지원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시설투자를 위해 4조5,000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등 기업금융 촉진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금융위는 또 가계대출의 예대율 산정 가중치를 100%에서 115%로 상향하고, 법인대출의 가중치는 현행 100%에서 85%로 하향 조정해 은행에 기업대출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1월부터 코넥스 상장 후 3년이 지나지 않고 공모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경험이 없는 창업 벤처기업이라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됩니다.
이외에도 금융 빅데이터 활용 범위가 보험정보와 공공데이터까지 확대되고, 금융 데이터 거래소가 구축되는 등 핀테크 산업 성장 기반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서울경제TV 고현정입니다./go8382@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