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4년차' 매매시장 안정세…"임기 후반기 압박수위 더 높일 듯"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문재인 정부가 본격적인 4년차 임기에 들어갔다. 15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의 대출을 전면 금지한 12·16대책 이후, 급등했던 서울지역 매매가격이 다소 안정된 분위기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8년 18.32% 급등한 이후 2019년 7.95%, 2020년(1~5월) 1.79% 수준으로 뚜렷하게 둔화되고 있다. 특히 올 4월에는 서울 아파트값이 11개월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고, 수도권 전반에서 거래위축을 동반한 하락 지역도 점차 늘고 있다.
현 정부는 임기 내내 규제 강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상승세였던 집값을 잡기위해 규제 강화로 임기 초반을 시작했지만 의도와 다르게 가격 상승 국면이 계속됐기 때문.
부동산114 관계자는 “금융위기(2008년)나 침체기(2013년)에 시작된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는 경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규제 완화 위주의 부동산 정책을 추진했다”면서 “역대 정부가 추진한 부동산 정책들의 기저에는 경기변동에 따른 매매·전세가격 움직임이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4년차를 맞이한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변화도 감지된다. 최근 정부가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을 발표한 것처럼 투기수요 규제 위주의 정책에서, 대규모 공급으로의 방향 전환을 꾀하는 모양새다.
수요자가 가장 우려하는 공급 기반을 강화해 과열된 시장 안정을 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최근 용산 개발 이슈처럼 시중 유동 자금이 풍부해 언제든 투기수요의 불씨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은 열려 있다. 과거 노무현정부도 판교신도시 개발 이슈 등으로 인해 3년차와 4년차에 집값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와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해 시장 안정을 유도한 바 있다.
올 들어서만 벌써 3번 이상의 부동산 정책이 발표됐다. 수원과 의왕시를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한 2·20대책과 5월 6일 발표한 공공재개발 공급정책, 5월 11일 나온 수도권과 광역시의 분양권 전매제한 조치, 용산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5월 20일) 등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12·16대책 발표 이후 시장이 다소 안정됐지만 규제 압박수위를 더 높여 1~3년차에 급등한 가격 수준을 일부 되돌리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며 “역대 정부 대부분은 초기에 추진하던 정책 방향을 임기 후반기까지 끌고 갔다”고 설명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엑스게이트·이노뎁, 영상관제 분야 양자 보안기술 협력 MOU
- 현대차 노조, 7년만 파업…기아 임단협도 평행선
- 석화 위기 해법찾나…정유·석화 수직계열화 ‘시동’
- ‘백종원 리스크’ 더본코리아…소스 사업으로 위기 돌파
- LG엔솔, 中 제치고 벤츠에 배터리 공급…15兆 추산
- “실적부진에 사망사고”…포스코그룹, 돌파구 찾나
- 은마아파트, 46년만 재건축…“매매 물건 실종”
- 그린몬스터, 지방 흡수 억제 돕는 ‘디톡 알파 CD’ 선봬
-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부산 전시장 오픈…“韓서 사업 확장”
- GS건설 허윤홍 대표, 근로자 사망 사고 공식 사과…“안전 전면 재점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10월 31일까지 반려견 동물등록 자진신고 접수
- 2순창군 옥천인재숙, 교육부 '자기주도 학습센터' 최종 선정
- 3남원시, 석면 없는 안전한 주거환경 위해 '슬레이트 처리' 지원 확대
- 4순창군 유등면, 군 최초 주민자치회 발족
- 5국립민속국악원, 9월 하반기 국악명상 참가자 모집
- 6장수군, 첨단 장비로 잔류농약 463종 정밀 검사
- 7임실군, 외국인 근로자 비자 승급 지원금 첫 전달
- 8남원, '포도의 도시' 향해 첫걸음…흥부골 포도축제 성황
- 9장수서 4~5세기 마한 취락지 확인…주거지 63기·토기 대거 출토
- 10임실N치즈축제, 5일간의 가을 대향연…치즈·꽃·체험 풍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