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쇼핑 1분기에 25조원…음식 배달 3년 전보다 7배 늘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분기 모바일 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인 약 25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배달 거래액 규모는 3년 전보다 7배 늘어난 반면, 문화·레저 온라인 거래는 3년 전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18일 KT경제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시장분석기관 DMC미디어는 최근 발간한 '2020 디지털차트: 국내 이커머스' 리포트에서 이렇게 분석했다.
통계청 조사 결과 올해 1분기 국내 온라인 쇼핑몰 거래액 규모는 약 36조8천400억원이었다. 총 거래액 규모는 지난해 4분기(37조4천100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총 거래액은 역대 최대 규모였다. 그러나 1분기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24조7천9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24조5천100억원)보다 2천800억원가량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을 상품군별로 나눠보면 음·식료품 및 음식 배달 서비스 비율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전체 거래액에서 음·식료품의 비율은 올해 1분기에 12.3%로 3년 전보다 3.8%포인트 늘어났다. 음식 배달 서비스의 1분기 비율은 9.4%로 3년 전(2.5%)보다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6.2%)보다도 3.2%포인트 늘었다. 올해 1분기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으로 음·식료품, 음식 배달 서비스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됐다.
음식 배달 서비스 총 거래액은 2017년 1분기에 5천억원에 불과했는데, 올해 1분기에는 약 3조5천억원에 달했다. 거래의 94.3%(3조3천억원)가 모바일에서 이뤄졌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쇼핑이 늘면서 농·축·수산물, 가구, 서적, 자동차 및 자동차 용품 등은 올해 1분기 거래액이 최근 3년 사이 최대치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온라인 거래액은 1조4천억원을 기록해 3년 사이에 처음으로 1조원 규모를 넘겼다. 가구는 1조1천억원, 서적은 6천억원,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은 5천억원어치가 온라인에서 거래됐다. 반면 문화 및 레저 서비스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아 온라인 거래액이 지난해 4분기 6천억원에서 올해 1분기 2천억원으로 급감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썸코리아 운영 브랜드 페이퍼어스, ‘디자인코리아 2025’ 참가
- 똘똘한 한 채 선호에 역세권 가치 ‘껑충’…수요층 선점 분주
- “원점에서 다시”… 한화오션, 안전관리 체계 혁신
- 세븐일레븐, 올해 빼빼로데이 매출 120% 증가
- HS효성첨단소재,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BMW 코리아,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 현대제철,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코리아교육그룹, 신규 온라인 강의 플랫폼 ‘블러 스튜디오’ 선공개
- HS효성첨단소재, ‘2025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에코비, 아시아 뷰티 박람회 ‘2025 홍콩 코스모프로프’ 참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자, 문화관광수도 부산’…정연욱 의원,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 2썸코리아 운영 브랜드 페이퍼어스, ‘디자인코리아 2025’ 참가
- 3모아데이타, 삼성서울병원 국제심포지엄서 AI 헬스케어 사례 발표
- 4똘똘한 한 채 선호에 역세권 가치 ‘껑충’…수요층 선점 분주
- 5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6“원점에서 다시”… 한화오션, 안전관리 체계 혁신
- 7세븐일레븐, 올해 빼빼로데이 매출 120% 증가
- 8HS효성첨단소재,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9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10BMW 코리아,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