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합병증 뇌졸중 61%"…제일약품 등 뇌졸중 치료제 개발 탄력받나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코로나19 환자의 뇌손상 합병증 위험도는 뇌졸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리버풀대학교 베네딕트 마이클 교수팀은 지난 25일 국제학술지 란셋(Lancet)을 통해 영국 전역의 코로나19 중증사례 125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임상정보를 확보한 125명 중 61%가 뇌졸중 합병증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뇌 관련 합병증을 밝혀낸 중요한 시발점으로 학계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코로나19와 뇌졸중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내 뇌졸중 치료제 개발 기업들의 임상이 탄력을 받게 될지 주목된다. 정부가 코로나19 범정부 지원단을 출범하면서 임상심사 단축과 적극적인 지원을 천명했기 때문이다. 특히, 제일약품의 뇌졸중 치료제는 정부의 범부처 사업 국책과제로 지정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제일약품이 뇌졸중 치료제(JPI-289) 임상시험을 진행중에 있다. 임상 2a상 코호트 1,2가 완료된 중간분석에서 뛰어난 약물 안전성과 뛰어난 치료효과 등이 확인됐다. 임상 2a상 코호트 3은 국내 15개 의료기관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제일약품 이외에 셀트리온이 연세대학교 의료원과 뇌졸중 후보물질의 공동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IST)는 비상장 기업 뉴로바이오젠과 공동 연구개발 중에 있으며 바이오벤처 지엔티파마는 아주대병원 등과 올해 임상2상에 돌입했다.
뇌졸중은 국내 사망률 1위, 글로벌 사망률 2위 질환이다. 현재까지 FDA 승인을 받은 뇌졸중 치료제는 베링거인겔하임의 액티라제가 유일하다./jjss1234567@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험로·수심 800mm도 거뜬”…기아 첫 픽업 ‘타스만’ 타보니
- 2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3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4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5“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6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7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8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9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10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