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출규제 1년, 韓기업 소부장 경쟁력 상승”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지난해 일본 정부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에 대한 수출을 규제한 이후 한국의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경쟁력이 이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매출 1,000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의 수입 거래가 있는 국내 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라는 주제의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일본에서 소재·부품·장비 등을 수입하는 국내 주요 기업들은 지난해 7월 일본의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할 경우, 한국의 경쟁력은 지난해 7월 89.6에서 이달 91.6으로 상승했다고 봤다. 즉 수입 기업들은 일본의 수출규제 및 한국에 대한 화이트국가 제외 조치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 소부장 경쟁력이 이전보다 상승했다고 평가한 것이다. 다만 여전히 일본의 90% 내외 수준에 머물고 있어 소부장 국산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업종별로 일본 대비 경쟁력 변화를 살펴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92.7→98.7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지난해 7월 3대 품목(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폴리이미드) 수출규제 이후 이들 품목에 대한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1차금속 제조업 88.1→92.5, 식료품 제조업 91.9→96.3,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0→101.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6.1→97.8로 경쟁력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향후 사업지속을 위해 악화된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66.4%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개선 불필요하다’는 응답 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기업들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 ‘한일 정부간 외교적 타협(66.4%)’을 가장 높게 응답했다. 한일 양국 정부간 외교적 타협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전경련이 지난해 7월 실시한 설문에서 ‘한일 정부간 외교적 타협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40.5%)보다 높아져, 국제중재수단보다 외교적 해결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가 보다 높아졌음을 나타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우리 소부장 경쟁력이 정부와 기업의 노력으로 다소 상승했으나, 단기간에 소부장 경쟁력을 일본 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며,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의 꾸준한 노력과 함께, 양국 정부도 수출규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폭스바겐코리아, ‘문경 레전드 트레일’에 ‘아틀라스’ 지원
- BMW 코리아, 전기차 시승 멤버십 누적 참여 고객 2500명 돌파
-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다운 베스트 서울시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 "시민과 함께하는 클래식"…제1회 K-클래식 페스티벌 개최
- 현대차, 평택시와 수소항만 구축…"수소 생태계 조성에 기여"
- 루킨스, '투스텝 슬로우에이징 루틴' 제안…세럼·크림 론칭
- [인사] 대동
- 대동, 사업운영총괄 신설…나영중 부사장 승진
- 신세계면세점 ‘2025 감사제’ 돌입…中 블랙프라이데이 공략
- 롯데마트, 헬스앤뷰티 기획전 ‘뷰티플렉스’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폭스바겐코리아, ‘문경 레전드 트레일’에 ‘아틀라스’ 지원
- 2BMW 코리아, 전기차 시승 멤버십 누적 참여 고객 2500명 돌파
- 3현대백화점, 업사이클 다운 베스트 서울시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 4"시민과 함께하는 클래식"…제1회 K-클래식 페스티벌 개최
- 5원공노, 예비성인 자녀를 둔 조합원에게 응원선물 전달
- 6현대차, 평택시와 수소항만 구축…"수소 생태계 조성에 기여"
- 7신시웨이, 3분기 영업익 8억…전년비 154%↑
- 8링네트, 3분기 영업익 50억…전년비 21%↑
- 9루킨스, '투스텝 슬로우에이징 루틴' 제안…세럼·크림 론칭
- 10"안전은 모든 업무의 기본"…부산도시공사, 'BMC 안전골든벨' 열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