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으로 눈길 돌린 투자수요…지방 주택구매력지수 8년새 최대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올해 1분기 지방의 주택구매력지수(HAI)가 2012년 이래 역대 최대치(아파트 기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지방의 주택구매여력을 나타내는 주택구매력지수(HAI)는 291.9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2년 1분기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 종전 최고치인 15년 1분기의 기록(282.5)을 경신한 수치다.
또 전년 4분기(273.5)보다 18.4가 오르며, 그동안 지방 주택구매력지수 가운데서도 역대 최대 격차를 보였다. 1분기 8개도의 주택구매력지수도 393.3을 나타내면서, 2012년 이래 최대치를 보였다. 종전 최고치인 19년 3분기(364.5)는 물론 전년 4분기(321)보다 높았다.
반면 올해 1분기 전국과 서울, 수도권, 5대광역시 각각의 주택구매력지수는 전년 4분기 대비 일제히 하락했다. 1분기 전국의 주택구매력지수는 166.4로 전년 4분기 대비 13이 감소했다. 서울은 24.2가 감소한 68.5를 기록했고, 수도권은 19.4 감소한 114.2를, 5대광역시는 5.5감소했다.
주택구매력지수는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아 중간 정도의 주택을 구매한다고 가정할 때 현재의 소득으로 대출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주택구매력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중간 정도의 소득을 가진 가구가 중간가격의 주택을 큰 무리 없이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수도권, 광역시 보다 지방의 주택구매력지수가 높게 나타난 데는 지속적인 금리 하락으로 인한 주택구입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면서 “특히 서울, 수도권 등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을 억제해 집값을 잡겠다는 정부의 잇따른 정책에 지방 부동산 시장이 반사이익을 얻게 되는 영향까지 맞물리면서 주택구입 부담은 줄고, 구매력은 되려 높아지는 현상이 이어질 것이다”고 내다봤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 신라면세점, 보이그룹 엔싸인 모델 발탁…MZ세대 공략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양산 체제 구축
- LS일렉트릭,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산업부, 전력망 중앙·지방 협의체 첫 회의…"경제 성장 대동맥 구축"
- KGC인삼공사 “홍삼, 콜레스테롤 개선 기전 최초 규명”
- 쿠팡, 정부와 ‘AI 유니콘’ 육성…“제2의 쿠팡 키운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2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3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4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5"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6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 7신라면세점, 보이그룹 엔싸인 모델 발탁…MZ세대 공략
- 8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양산 체제 구축
- 9LS일렉트릭,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10산업부, 전력망 중앙·지방 협의체 첫 회의…"경제 성장 대동맥 구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