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식품∙바이오 양날개로 훨훨…2분기 영업익 120%↑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CJ제일제당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7.4% 성장한 5조9,209억원, 영업이익은 119.5% 늘어난 3,849억원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CJ대한통운 실적 제외시, 매출은 8.6% 늘어난 3조4,608억원, 영업이익은 186.1% 늘어난 3,016억원을 기록했다. 식품∙바이오 등 전사 해외 사업이 지속 성장하며 글로벌 매출 비중은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바이오 고수익 품목 비중이 늘고 식품 사업구조 혁신의 성과가 가속화되며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
식품사업부문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2.1% 증가한 2조1,91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글로벌 식품 매출(미국 슈완스 매출 7,228억원 포함)이 전년 대비 26% 늘어난 1조485억원을 달성하며 1분기에 이어 1조원을 넘어섰다. 국내에서는 ‘집밥’ 트렌드 확대로 가정간편식(HMR) 판매가 늘며 외식 감소에 따른 B2B 매출 축소를 상쇄했다. 지난해부터 박차를 가해온 선제적 수익구조 개선 전략이 성과로 연결되면서, 영업이익은 134% 늘어난 1,264억원을 달성했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이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은 7,429억원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며 전년 대비 87% 늘어난 1,109억원의 사상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글로벌 팬데믹 영향으로 수요가 위축됐지만, 트립토판/발린/알지닌/핵산 등 고수익 제품군의 판매 비중이 증가하며 영업이익 증가를 견인했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R&D 경쟁력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원가 경쟁력 강화에 주력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CJ Feed&Care(사료+축산)는 전년 대비 8% 늘어난 5,26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643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익성 강화와 재무구조 개선 등 고강도 체질개선을 통한 선제적 위기 대응에 나섰다. 코로나19발 글로벌 불확실성이 이어진 2분기에도 사상최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등,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모습이다. 국내외에서 집밥 수요가 지속 증가 추세고 간편식 중심의 소비 트렌드가 더욱 확산되고 있는 만큼, 3분기에도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부터 수익성 강화에 중점을 둔 ‘혁신성장’에 주력한 결과, 글로벌 위기 상황에도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면서 “핵심 제품과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전략적 R&D투자 및 경쟁력 확보를 통해 미래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제5회 유통상생대회 개최
- 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 '고맙당’ 저당고추장, 아마존 프라임 칠리페이스트 1위 달성
- 쿠팡 택배기사 10명 중 6명 ‘주 5일 근무’…CJ는 0.15명 그쳐
- 역전할머니맥주, 인니에 첫 해외 매장…K주점 글로벌 진출
- 신세계사이먼 파주 프리미엄 아울렛, '크로우캐년' 팝업스토어 오픈
- 이엠텍, 연초 본연 맛 구현한 전자담배 ‘이토 하이브리드’ 출시
- G마켓,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셀러 상생 공로"
- 푸디스트, '고객 참여형 메뉴'로 워터파크 식음 트렌드 선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석훈 목포시장 권한대행, '시정 챙기기'에 박차 가하며 희망찬 변화 이끌어
- 2KS인더스트리 대주주는 동네 학원? 성안에선 'CB 플레이' 논란
- 3신안군, '무더위 쉼터' 확대 운영…군민 안전 총력 대응
- 4중기중앙회, 제5회 유통상생대회 개최
- 5과천시, 7월분 재산세 361억 원 부과,,
- 6인천 옹진군, 북한 핵폐수 안전 점검 강화
- 7경기도, 국회 보좌진 대상…"2026년 국비 확보 본격화"
- 8‘해링턴 플레이스 풍무’ 견본주택 11일 오픈
- 9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10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