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갚을 능력 있어도…금융이력 부족 국민 27% 대출 불리"
증권·금융
입력 2020-10-05 17:00:52
수정 2020-10-05 17:00:52
정순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정순영 기자] 신용등급 대상자의 27%가 금융 이력 부족으로 대출을 받을 때 불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5일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신용등급 대상자 4,673만2,003명 중 약 27%인 1,271만5,748명이 금융 이력 부족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신용등급이 낮으면 은행권에서 돈을 빌리기 어렵거나 높은 금리로 빌려야 한다.
연령별로 보면 20세 미만 100만3,550명, 20대 331만131명, 30대 171만2,940명, 40대 133만8,561명, 50대 151만4,614명, 60세 이상 383만552명이었다.
물론, 이동통신 요금과 공공요금을 일정 기간 이상 납부한 실적이 있을 경우 신용등급 가점을 주지만 고객이 직접 신용평가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정보제공 동의서를 제출하고 1년이 지나면 이를 갱신해야만 한다.
특히 금융 이력 부족자가 집중된 20대와 60대의 경우 금융소외 계층을 위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금융 이력 부족자 보호를 위한 신용정보법이 통과한 만큼, 마이데이터 사업 등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에도 혜택이 돌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BK기업은행, '외국인직접투자(FDI) 설명회' 개최
- 서울옥션-서울옥션엑스, '공연 사업' 진출
- 원유니버스, LLM 전문기업 '스피링크'와 MOU 체결
- 카카오페이손보, 브랜드 필름 조회수 350만회 돌파
- 하나카드, 여름 혜택 페스타 진행
- BC카드, 'BC바로카드 친구추천 이벤트' 실시
- 우리銀, 보호아동 위한 그룹홈 환경개선 위해 6억원 지원
- 신한카드, '패밀리케어' 판매…실시간 안전 서비스에 금융사기 보상까지
- 교보생명 “광화문글판, 힘들 때 나를 잡아준 한 문장"
- KDB생명, 임직원 대상 '타운홀 미팅' 개최…신규 임원 선임·조직개편 방향 공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