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디자인·편의성 높인 '2022년형 XM3' 출시
경제·산업
입력 2021-06-04 16:16:11
수정 2021-06-04 16:16:11
정새미 기자
0개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4일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XM3의 2022년형 모델을 출시했다.
2022년형 XM3는 지난해 3월 출시한 XM3의 연식변경 모델이다. 수출 모델 '뉴 아르카나'의 디자인을 적용하면서 주요 기술 사양을 업그레이드 했다. XM3는 르노삼성차의 수출 주력 모델이다. 올해 3월 프랑스 등 유럽 4개 국가에서 사전 출시해 3개월간 유럽 사전 판매 목표였던 7250대를 넘어 9000대 이상 판매했다. 이달부터는 유럽 28개국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트림(등급) 운영은 기존 6개에서 5개로 줄였으며, 먼저 젊은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요 기술 사양을 업그레이드했다고속화 도로 및 정체구간 주행보조(HTA)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 정차와 재출발을 지원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차선 유지 보조로 구성돼 운전시 피로도를 줄여준다. XM3 TCe260 RE 시그니처 트림의 경우에는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원격 시동·공조 기능을 추가해 원격으로 최적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여름에 차량을 장시간 주차한 경우 이 기능을 활용해 탑승 전에 미리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주유소나 식음료 업종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차량용 결제 서비스인 '인카페이먼트' 기능도 동급 최초로 추가됐다.
뉴 아르카나와 통일감이 느껴지는 디자인으로 글로벌 모델의 이미지를 강화했다.안개등을 과감히 삭제하고 대신 에어커튼 크롬 장식을 추가했다. 프론트·리어 스키드 플레이트(차체 하부 보호판)를 기존 그레이 색상에서 하이퍼 새틴 그레이로 변경했다.
클라우드 펄, 솔리드 화이트, 어반그레이, 메탈릭블랙 등 기존 4가지 색상에 르노 브랜드에서만 볼 수 있는 색상인 '소닉 레드'를 추가했다.
가격은 개별소비세 3.5% 기준으로 트림에 따라 1,787만~2.641만원으로 책정됐다.
르노삼성자동차 김태준 영업마케팅본부장은 “고속화 도로 및 정체구간 주행보조 기능 추가 및 인카페인먼트와 함께 업그레이드된 이지 커넥트로 개성이 뚜렷한 젊은 고객들의 XM3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2020년의 성공적인 런칭에 이어 XM3가 다시 한번 소형 SUV 시장의 판매 돌풍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