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 이유…서울 주택 준공·착공 ‘부진’
1~5월 서울 주택 준공 작년보다 7,000건 줄어
신규 착공 1~2년 전보다 1만여건 감소
향후 3~4년 충분한 신규 주택 공급 어려워
태릉골프장·용산캠프킴 등 공급 일정 난항
오세훈표 민간주도 공급 계획도 차질 예상

[앵커]
올해 들어 서울 신규 주택을 위한 착공과 준공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 공급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인 만큼 공급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요. 설석용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들어 서울 내 신규 주택 공급을 위한 착공과 준공 상태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과 국토교통부 통계 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서울 주택 준공은 2만9,47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00여건 줄었습니다.
특히 올해 1~5월 신규 주택 공사 시작을 알리는 착공 건수는 1만7,555건으로 1~2년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많게는 1만여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앞으로 3~4년 후에도 역시 충분한 공급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관측됩니다.
여기에 정부의 서울 도심 주택 공급계획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
태릉골프장과 용산 캠프킴 등 지난해 8·4 공급 대책의 핵심 지역들이 주민과 지자체의 이견으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게다가 오세훈 서울시장이 약속했던 향후 5년간 24만 가구를 민간 주도로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속도를 내지 못 하고 있습니다.
개발 기대감에 집값이 급등하는 역효과에 더해 정부가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완화를 거부하고 나서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
업계에선 신규 주택 공급을 위한 계획 차질과 사업지연은 집값을 올리는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싱크] 윤지해 /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빠르게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그런 경향들을 불러오긴 해요. 왜냐하면 인허가 물량 자체가 적다는 거는 향후 2~3년 내에 시장불안이 잡히기 어렵다는 인식이 깔려있기 때문에 내 집 마련을 서두르는 심리위축 그런 부분에 작용을 할 순 있는 거죠."
서울경제TV 설석용입니다. /joaquin@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혜란의 車車車] 시속 300km ‘거뜬’…“금호타이어 달고 달려요”
- “아이템 획득 확률 뻥튀기”…공정위, 위메이드에 과태료
- LNG벙커링선 수요 증가에…HD현대미포 ‘방긋’
- ‘불닭 신화’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 사임
- 건설사 1분기 실적 ‘희비’…DL·GS 웃고, 현대·대우 울고
-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HBM 동맹' 깨지나
- “한번 주유에 1000km”…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공개
- “100조? 난 200조”…허울뿐인 AI 공약에 업계 “답답”
- DL이앤씨, 영동양수발전소 착공식…"13년만"
- GS건설, 탄소 발생 없는 ‘친환경 전기’ 생산 추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도, 학생 수 1위...교육 예산 역차별 지적“
- 2부천 미니뉴타운...대안인가, 또 다른 갈등인가
- 3전북경찰청, 여성청소년기능 워크숍 개최…관계성 범죄·청소년 범죄 대응 강화
- 4전북대병원, 산불 피해 복구 성금 기탁
- 5전주시의회, 전주시킥복싱협회와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논의
- 6전북자치도의회, 소식지 제90호 발간
- 7고창식품산업연구원, 관광상품 고도화 지원사업 수혜기업 모집
- 8고창군, 청보리밭축제 맞아 자매도시 대표단 방문
- 9고창군, ‘인구 5만 지키기’ 범군민 운동 전개
- 10남원시, 축산분뇨 처리에 45억 투입…쾌적한 축산환경 조성 박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