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카카오 뷰(View)’ 생긴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카카오는 카카오톡에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카카오 뷰(View)’를 선보인다고 3일 밝혔다.
카카오 뷰는 다양한 '관점'이 담긴 콘텐츠를 '본다'는 의미로, 카카오톡 세번째 탭에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를 발행하는 창작자들은 ‘뷰 에디터(View Editor)’로 불리며, 카카오톡 이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뷰 에디터로 참여 가능하다.
해당 서비스는 ‘뷰’와 ‘My뷰’로 구성돼 뉴스, 영상, 텍스트,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 링크를 모아 ‘보드’ 형태로 발행할 수 있고, 하나의 보드에는 최대 10개의 콘텐츠 링크를 담을 수 있다.
‘뷰’는 나의 취향과 관점에 맞는 보드를 발견하는 공간으로, 경제, 취미, 테크, 건강, 교육 등 총 22개의 주제 카테고리 가운데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한 후 다양한 언론사와 뷰 에디터를 찾아 구독하면 된다.
‘My뷰’ 는 내가 구독하는 뷰 에디터의 보드를 모아볼 수 있는 공간으로, 마음에 드는 뷰 에디터나 보드를 발견했을 시 보드의 우측 상단 버튼을 눌러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하면 된다. 또한 이용자가 ‘My뷰’ 내 보드의 정렬 기준을 직접 설정해 선호에 따라 뷰 에디터의 보드를 최상단에 고정하거나 최신순으로 배열할 수 있다.
보드 발행은 ‘카카오 뷰 창작센터'에서 카카오톡 채널을 개설한 뒤 원하는 콘텐츠를 큐레이션해 하면 된다. 보드에서는 카카오TV, 티스토리, 다음뉴스 등 카카오의 서비스를 넘어 유튜브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외부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고, 오픈채팅, 톡캘린더 등 카카오톡의 기능을 이용해 이용자들과 직접 소통도 가능하다.
뷰 에디터는 자신의 보드를 받아보는 이용자 수나 보드 노출 수 등에 따라 ‘My 뷰’ 공간의 광고 수익 일부를 배분 받게 된다. 향후 카카오는 이용자의 후원이나 유료 콘텐츠 발행 등 다양한 수익 모델도 넣을 예정이다.
황유지 카카오 서비스플랫폼실장은 “카카오 뷰는 누구나 에디터로서 자신만의 관점을 담은 차별화된 콘텐츠를 발행하고,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능동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서비스”라며 "콘텐츠 창작자만이 아닌 편집자의 가치가 재조명되는 ‘새로운 콘텐츠 생태계’로 자리매김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kimsou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GC인삼공사, ‘G1899’ 론칭…글로벌 원료 사업 본격화
- 무보, ‘수출성장 플래닛’ 선발…“글로벌 기업 육성”
- 우지라면 ‘삼양1963’ 부활…‘불닭’ 신화 이을까
- 최태원 “AI 수요 폭발적 증가…메모리 병목현상 해결”
- 관세 협상·미중 합의에…해운업계 ‘숨통’ 트이나
- 마스가 프로젝트 본격화…순풍 탄 ‘HD현대·한화오션’
- ‘필드 위 전시장’…완성차, 골프 마케팅으로 접점 확대
- 롯데바이오로직스, ‘월드 ADC’ 참가…"글로벌 경쟁력 확장"
- 일동제약그룹 ‘바이오 유럽’ 참가… ‘GLP-1RA 비만약’ 등 파트너링 미팅
- GC녹십자, 분기 매출 첫 6000억원 넘어…영업이익은 감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GC인삼공사, ‘G1899’ 론칭…글로벌 원료 사업 본격화
- 2무보, ‘수출성장 플래닛’ 선발…“글로벌 기업 육성”
- 3우지라면 ‘삼양1963’ 부활…‘불닭’ 신화 이을까
- 4최태원 “AI 수요 폭발적 증가…메모리 병목현상 해결”
- 5NH농협금융, 3분기 나홀로 역성장…건전성은 호전
- 6하이닉스 주가 너무 올랐다? 공매도 '사상 최대'
- 711만전자·60만닉스…불붙은 코스피, 4200도 뚫었다
- 8관세 협상·미중 합의에…해운업계 ‘숨통’ 트이나
- 9마스가 프로젝트 본격화…순풍 탄 ‘HD현대·한화오션’
- 10‘필드 위 전시장’…완성차, 골프 마케팅으로 접점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