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한국형 내진기술 확보 위해 지진 연구과제 공모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은 한국형 내진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진 연구과제 공모를 진행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이 재단은 장학 및 학술 지원을 위해 DL이 지난 1989년 설립했다.
이번 공모 연구 주제는 건축물 비구조재 관련 내진설계 기술개발과 도심지의 지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지진공학 및 내진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박사학위 소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과제를 신청 받고 있으며, 오는 10월 최종 연구 주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재단은 3년 동안 총 9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게 된다.
첫 번째 주제는 ‘고층 아파트 비구조재 및 취약부 내진설계 기술개발’ 이다. 지진 취약부에 적합한 내진설계 기준을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 지진이 발생하면, 골조와 같은 구조재 보다는 외벽이나 유리창과 같은 비구조재의 파괴가 사람에게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최근 고층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비구조재에 관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 졌다.
두 번째는 도심지의 지반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진 정보 표준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도심지에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파가 증폭되거나 흙이 액체처럼 바뀌는 액상화, 산사태 등의 추가 피해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 발생된 지진을 정밀하게 분석해 산사태, 지반 액상화 등의 재해 평가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경주와 포항에서 대형 지진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지진관련 전문 연구인력과 체계적인 연구가 지진다발국가인 일본에 비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은 2018년부터 지진 전문 인력 양성과 관련 연구 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른 성과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재단의 지원을 받은 서울대학교 연구진은 지난해 7월 지반 액상화와 관련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는 관련 규정을 개정했다.
대림수암장학문화재단 관계자는 “국민 안전을 위해 국내 지진 재해 평가와 재난 방지에 대한 기반을 구축하고 한국형 내진설계 기술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한국형 지진 연구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폐수 유출한 영풍 석포제련소, 오염시설 미신고로 '벌금형'
- 당근·번개장터 ‘지브리 이미지’ 거래…못막나 안막나
- ‘신저가 행진’ 삼성SDS…현금성 자산 6兆 풀까
- ‘엎친 데 덮친’ 삼성, D램 주도권 뺏기고 인력 전환 골머리
- 스타벅스, 일회용컵 모으면 별 준다…청주서 첫 실험
- 'LG 어워즈' 명예의 전당 공개…구광모 “고객 최우선”
- “유상증자 반대”…티웨이 소액주주 힘 모은다
- 아이팔콘(iFFALCON), 한국 시장 본격 진출…차별화된 라인업 공개
- 벨톤 보청기, '美 최고 고객 서비스' 3년 연속 수상
- 현대큐밍, 펫가전 라인업 확대…라이프스타일 홈케어 전략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