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원달러 강세, 증시 하방 압박…외국인 수급 부담 요인"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성장우려에 관망세가 이어지며 장을 마감했다. 국내증시는 원달러 환율의 증가세로 인한 부담이 작용할 전망이다.
1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7.72포인트(0.34%) 내린 3만4,378.3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54포인트(0.24%) 떨어진 4,350.65를 기록했고, 나스닥은 20.28포인트(0.14%) 내린 1만4,465.92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2일) 증시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소매 판매, 9월 FOMC 회의록, 3분기 어닝시즌 시작 등 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기다리며 관망세를 보였다.
존 버킹엄 코비츠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투자자들이 목이 잘린 닭처럼 뛰어다니고 있다"며, "그들은 한가지에 꽂혀서 주식을 사고 곧 마음을 바꿔 파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제통화기금(IMF)은 공급망 문제와 지속적인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세계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6%에서 5.9%로 하향했다. 이는 선진국 성장률 전망치를 5.6%에서 5.2%로 낮춘 결과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야기한 세계적인 공급망 문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IMF는 경기회복이 예상보다 빨리 이뤄지거나 인플레이션 위험이 두드러질 경우 신속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촉구하는 동시에 인플레이션 전망을 높였다. 이어 인플레이션이 2022년 중반까지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이지만, 만약 공급망 중단이 더 오래 지속된다면 인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은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증권업계는 원달러 환율의 6개월째 증가세가 국내증시의 부담으로 작용 중이라며, 원화 약세로 인한 외국인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는 "원자재 가격 상승발 인플레이션 우려와 중국 경기 둔화 우려로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었다"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것이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국내증시에서의 외국인 순매도가 연일 이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외국인 유출은 증시하락과 함께 다시 환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원화 약세는 수출 업체에게 긍정적인 요인일 수 있으나, 수입물가의 상승 요인"이라며, 결국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물가 압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원전, ETF로 담다" 신한운용, ‘SOL 한국원자력SMR’ 신규상장
- 헝셩그룹, 고궁박물관과 굿즈 생산계약…"제품 카테고리 확장"
- 클로봇,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에 4족 보행로봇 'SPOT' 공급
- 지니언스, 통합 단말 보안 플랫폼 '지니안 인사이츠 E 3.0' 출시
- 씨이랩, 반도체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 CJ CGV, 정부 정책에도 수요회복 안 보여…목표가↓-삼성
- 300만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금융 혁신, '은행에서 앱으로'
- 메리츠에 밀린 DB…손보업계 지형 변동
- SC제일銀 순익 급감…이광희 행장 경영 시험대
- K-헬스케어 전성시대? 코스닥 휩쓰는 바이오株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화약품, 신임 생활건강본부장에 조영한 본부장 선임
- 2순창 양지천, 황화코스모스·버들마편초 만개…가을 정취 가득
- 3장수군 종합실내체육관, 첫 전국대회 성공적 개최
- 4피앤지바이오메드, 베트남 국영자본투자공사와 MOU 체결
- 5임실군파크골프장, 대한파크골프협회 공인 인증 도전
- 62025 임실 방문의 해, 특별한 치즈축제 '공격적 홍보' 열기 후끈
- 7대구대, 야생동물 전문인력 양성…경북 영덕 산불 지역 생태 교육
- 8경북도교육청정보센터, 하반기 평생교육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 9영남이공대, 2026학년도 학과 및 계열 정원조정 통해 미래인재 양성 박차
- 10대구대 서비스마케팅디자인전공,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관련학과로 공식 지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