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외국은행 국내지점 순이익 4.5% 줄어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외국은행 국내지점 35곳의 작년 당기순이익이 1년전과 비교해 4.5%(535억원)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과 주식호황에 따른 이자이익이 늘어난 반면 비이자이익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이 23일 내놓은 ‘2021년도 외국은행 국내지점 영업실적’을 보면 35곳의 외은지점 2021년 회계연도 당기순이익은 1조1,482억원으로 전년(1조2,017억원)보다 535억원 감소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35%로 전년(0.37%)보다 0.02%포인트 하락했다.
[표=금융감독원]
세부적으로 이자이익은(1조8,591억원)은 전년(1조5,5557억원)대비 3,304억원(19.5%) 증가했다. 하지만 비이자이익(5,625억원)은 전년(1조80억원)보다 4,455억원 감소했다.
이자이익 증가는 대출채권과 유가증권 등 운용자산과 순이자마진(NIM)이 늘어난 영향 때문이다. 이자이익은(평잔)은 2020년(회계연도 기준) 174조4,00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84조1,000억원으로 9조7,00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순이자마진은 0.80%에서 0.94%로 0.1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비이자이익 감소는 수수료 수익과 외환‧파생관련 이익, 유가증권관련 이익이 감소한데 따른 영향이다. 특히 지난해 회계연도 수수료손실은 336억원으로 전년보다 588억원 감소했다.
또 유자증권관련 손실은 1조476억원으로 전년보다 손실이 8,287억원 증가했다. 유가증권 보유량이 증가한 상황에서 시장금리가 상승해 유가증권매매와 평가손실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대손비용에서는 충당금순전입액은 99억원으로 전년(1,283억원)대비 1,381억원 감소했다. 고정이하여신의 감소와 전년도 충당금 적립 확대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회계상 손익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자산건전성 분류 결과에 따른 추가적립인 대손준비금 순전입액은 976억원으로 전년보다 1513억원이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이 지속되고 환율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비해 외은지점의 외환‧파생거래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고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개인·기업 빚 절반 '1933조'가 부동산에 쏠려…11년만에 2.3배↑
- 키움증권 '먹통'…"또 '사고'有, 더 불안"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2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3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4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5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6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7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8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 9거세지는 식품·외식 물가 상승세…가격인상 주춤해질까
- 10경기 침체 장기화로 직격탄 맞은 유통업계…부도확산 우려까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