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대장내시경 ‘용종’ 발견 무조건 제거해야 할까?

문화·생활 입력 2022-06-24 09:35:27 수정 2022-06-24 09:35:27 정의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대장은 소화 마지막 단계에서 각종 영양분 및 전해질을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소화기관이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분해 과정 중 발생한 대사 산물이 대장 세포를 손상시길 수 있는데 이는 곧 대장암 발병 원인이 된다. 이에 평소 올바르고 균형 있는 식습관을 영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장암은 조기에 진단되면 거의 완치에 이를 수 있는 암중 하나이지만  초기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예방 습관 및 정기적인 검진에 의한 조기 발견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꼽을 수 있다.


대장내시경 검사의 가장 큰 목적은 대장암 예방이다. 보건복지부는 50세 이상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최소 5년의 한 번 정도 대장내시경 검사를 권장하고 있다. 특히 대장암 가족력이 있다면 발병률이 4배 이상 상승하기 때문에 주기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40대 이상이라면 최소 2-3년에 한 번 정도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다만 이미 다발성 대장용종이 발견된 경험을 갖고 있거나 염증성 장질환 등을 앓고 있다면 최소 1년에 한 번 정도는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종을 발견한 경우라면 유형에 따라 제거를 고려할 수 있다. 용종은 보통 선종성과 염증성, 증식성, 과오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바로 선종성 용종이다. 양성인 증식성 용종 등과 다르게 암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종성 용종은 양성 종양인데 점차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대장의 가장 안쪽 점막부터 점차 여러 겹의 층으로 퍼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선종성 용종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 대장암으로 진행되어 방광, 소장등 주변 장기 까지 확대 된다. 또한 림프, 혈액을 통해 간, 폐, 췌장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사 시행 도중 용종을 발견했다면 그 크기 및 모양을 고려 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절제를 진행 해야 하며 더불어 조직 검사를 통해 용종의 종류 그리고 악성 여부를 확인하여 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박성철 효천연합내과의원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