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잘 날 없는' 카카오, 주가 전망 ‘먹구름’
카카오, 7만300원 마감…7개월새 39% 급락
카카오,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예상
증권가, 카카오 목표가 줄하향…"반등 요원"
실적 악화·금리 인상·노사 갈등…대내외 악재 연속
"카카오, 모빌리티 매각 지분 가치에 부정적"

[앵커]
카카오의 주가가 내리막 길을 걷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시기 성장주의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모빌리티 매각을 둘러싼 내홍까지 불거지며, 인고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요. 향후 전망 김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카카오가 1.40% 하락한 7만300원에 마감했습니다.
올해 첫 거래일 카카오의 주가는 11만4,500원, 7개월 새 39%가 빠졌습니다.
그룹주의 상황도 마찬가지입니다.
올해 들어, 카카오 그룹주의 시총은 50조원 넘게 증발하며 반토막이 났습니다.
문제는 향후 주가 반등 시그널이 요원하다는 겁니다.
증권가는 긴 터널을 지나고 있는 카카오의 출구를 가늠하긴 아직 어렵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증권사들은 앞다퉈 카카오의 목표주가를 낮춰 잡고 있습니다.
대내외 악재가 불거지며 주가가 맥을 못 추고 있는 겁니다.
최근 모빌리티 매각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앞서, 대주주인 카카오가 모빌리티 지분을 사모펀드에 팔기 위해 협상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진 뒤 불거진 내홍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모양세입니다.
노조 측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꼴’이라며, 매각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모빌리티 매각에 따른 성장성 약화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UAM,자율주행 등 미래 먹거리 사업을 담당했던 모빌리티의 지분 가치 하락에 따른 부정적 여파는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당장, 2분기 실적도 우려됩니다.
증권가에선 카카오가 2분기 시장의 예상치(1,800~2,00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영업이익(1,500~1,7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증가에 더해 카카오의 주요 매출원인 광고, 커머스 시장의 성장 둔화가 실적 악화를 야기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결국, ‘바람 잘 날 없는’ 카카오가 국민주의 명성을 되찾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이란 평가입니다./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영상취재 강민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개장 이후 최대 월간 판매액 달성"
- 영림원소프트랩, 전력거래소 'ERP 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 BNK금융·한국해양진흥공사, 동남권 해양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 KB금융그룹, 데이터 활용해 수원시 소상공인 금융지원
- BNK부산銀·주택도시보증공사, 상생결제시스템 구축 나선다
- 하나금융·엔젤로보틱스, 미래전략산업 공동발굴 나선다
- 우진엔텍, APEC 바이어 초청 'K-원전 Biz 로드쇼' 참가
- "대내외 이슈 해소…韓 증시 '네 마녀의 날' 무난히 넘길 것"
- KB국민카드, '삼성AI구독 KB국민카드' 출시
- 새마을금고, 전용 생성형 AI 도입 시범사업 추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구대, AI·SW 분야 과감한 교육 투자로 미래형 인재 양성 박차
- 2영남대, AI 튜터 도입으로 ‘초개인화 학습 혁신’ 앞당긴다
- 3영남이공대, 2025학년도 ‘지역사회봉사센터 봉사단’ 발대식 개최
- 4대구한의대, 진로개발센터 2025학년도 학과별 현장연계 교육과정 기린도전학기 발대식
- 5차규근 의원, 총수일가 문어발식 보수수령 제한하는 법인세법 발의
- 6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 7혼다,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서 모빌리티 제품·기술 공개
- 8CJ프레시웨이, 제4회 ‘자연스럽게 먹자’ 식습관 공모전 성료
- 9도플소프트 ‘스마트무브’, 한강버스 실시간 길찾기 등 업데이트
- 10삼성SDS, ‘AI 풀스택’ 역량으로 기업 고객 혁신 이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