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美 경제지표·연준위원 발언에 혼조…국내 증시 外人 수급 ‘주목’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뉴욕증시가 각종 경제지표의 호조에도 일부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에 따른 달러 강세·주택지표 부진 등이 지수 상단을 제한하며 소폭 상승 마감했다. 국내 증시는 강달러 현상에 따른 외국인 수급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8.82포인트(+0.06%) 오른 3만3,999.04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9.7포인트(+0.23%) 상승한 4,283.74를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27.22포인트(+0.21%) 오르며 1만2,965.34에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8일) 뉴욕증시는 실업수당청구건수 및 필라델피아 제조업 지수 등 경제지표와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주목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연방준비은행) 총재는 “9월 FOMC에서 75bp 인상을 지지한다”고 발언했고,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역시 “지금이 침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이 낮아질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언급하는 등 연준 위원들은 매파적 발언을 이어갔다.
다만,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소폭 감소·8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3개월 만 상승 전환·신규 수주 지수 개선 등 긍정적인 측면과 7월 기존주택판매가 둔화하는 등 경제지표가 엇갈림에 따라 뉴욕증시는 혼조세 속 소폭 상승 마감했다.
증권업계는 뉴욕증시가 다양한 경제지표 발표 속 달러화의 강세 흐름을 보인 것이 국내 증시에 부정적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약보합 출발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달러 강세 기조가 강화된다면 국내 증시 방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외국인 수급 유입 강도는 지속적으로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늘은 마이크론(+2.5%), 엔비디아(+2.4%) 등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미국 증시 반등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이나, 원달러 환율 1,320원대 재돌파에 따른 외국인 수급 부담 등으로 제한적인 주가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nyseo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S인더스트리 대주주는 동네 학원? 성안에선 'CB 플레이' 논란
- 코스피, 닷새째 오르며 장중 3200 돌파…3년 10개월만
- 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IBK투자증권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 예상치 소폭하회 전망"
- '스테이블코인 기대' NHN KCP, 페이코와 시너지 주목
- 새 정부 기조 따라…우리銀, '포용금융 플랫폼' 키운다
- 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주택 시장 과열 진정시켜야"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뤄지나…희비 갈리는 증권株
- '부동산 STO 플랫폼' 루센트블록, 첫 부동산 매각 성사
- BNK부산은행·케이뱅크, 하반기 공동대출 상품 출시 예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2여수MBC 이전 추진에 시민단체 반발… "여수시 침묵은 배신"
- 3공영민 고흥군수, 강도 높은 폭염 대응 지시…"낮 시간 야외활동 자제"
- 4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 5삼성중공업, 에버그린에 친환경 선박 'VR 솔루션' 설치
- 6티웨이항공, 청소년 진로 탐색 위한 항공진로체험 교육
- 7'허위학력 저서 기재 의혹' 노형욱 전 장관 무죄
- 8'가족 피서지로 안성맞춤'…장흥군, 수문해수욕장 개장
- 9여수 제조업체 체감경기 '먹구름'…BSI 55.7로 하락
- 10진도군, 진돗개 '방문 진료'로 의료 사각지대 해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