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수도권·비수도권 문화콘텐츠 산업 양극화 문제 심각”
콘텐츠 산업 연간 평균 전체 매출액 118조원 넘어, 비수도권 14조원대 불과
콘텐츠 사업체 57.3%, 종사자 78% 등 수도권 집중화 현상 심각한 수준
김승수 의원 “文 정부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 산업 위기로 이어져”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문화콘텐츠 산업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 해소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1일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연간 평균 매출액은 118조 4851억원에 이르렀으나, 이중 수도권 매출액은 87.6%인 103조 7864억원, 비수도권 매출액은 12.4%인 14조 6987억원인 것으로 나타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동안 연도별 매출액을 비교해 보면, 2016년에 105조 54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고, 2020년에는 10% 증가한 128조 2594억원을 달성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87%를 상회하고 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사업체 수에서도 연간 평균 10만 4,042개 업체 중 비수도권은 42.7%인 4만 4461개 업체가 입점해 있고 나머지 57.3%인 5만9581개 업체는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 역시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는 연간 평균 62만 1281명 중 비수도권 종사자는 22%인 13만 3895명인 반면, 수도권 종사자 수는 78% 47만 3989명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김승수 의원은 “문화예술분야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제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문화콘텐츠 산업마저 지역 불균형이 지속된다면 비수도권의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위기에 직면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문재인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의 위기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위원회가 출범하면 신속하고 구체적인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포항~영덕 고속도로 11월 개통 예정…동해안 광역경제권 새 시대 연다
- 영천愛 와인&다인 1차 행사 성료, 5쌍 커플 탄생
- 영천교육지원청, 어린이통학버스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
- 김천교육지원청, 학생맞춤통합 지원 위한 김천 관내 전달 연수
- 주낙영 경주시장, APEC 정상회의 보름 앞두고 국·소·본부장 회의 주재
- 포항시, ‘월드푸드테크컨퍼런스 2025’ 참가. . .식품산업 혁신 이끈다
- 관광약자도 편안한 김천, 열린관광도시 도약 나선다
- 정연욱 의원 “JYJ법 제정 10년····여전히 수수방관하는 정부”
- 제4회 치악산 고구마 축제 개최
- 원주시, 새올 상담민원서비스 한시 재개...국민신문고 중단 불편 최소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집에서 찍은 1분 영상만으로…아이 자폐 위험 조기 선별
- 2이마트24, 서울대 밥스누 약콩두유빵 3종 출시
- 3오리온, '디저트 카페 한정판' 5종 출시
- 4구름, 국가 공인 CSAP 인증 획득…공공기관 클라우드 시장 본격 진출
- 5KT, 팔란티어와 한국서 첫 CEO 회동…AX 혁신 속도
- 6신한투자증권, 내부통제 강화 프로그램 '스캔들 Zero 2.0' 추진
- 7대신증권, '고배당∙고금리 기대상품 대신에 다~이쓴' 이벤트 진행
- 8KB국민은행-신용회복위원회, 'KB희망금융센터 설치·운영' MOU
- 9우리은행, 10월 알뜰폰 개통시 '최대 37만2000원 혜택' 제공
- 10뉴질랜드 프리미엄 슈퍼푸드 ‘슈퍼그린’, 홈쇼핑 첫 방송서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