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수도권·비수도권 문화콘텐츠 산업 양극화 문제 심각”
콘텐츠 산업 연간 평균 전체 매출액 118조원 넘어, 비수도권 14조원대 불과
콘텐츠 사업체 57.3%, 종사자 78% 등 수도권 집중화 현상 심각한 수준
김승수 의원 “文 정부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 산업 위기로 이어져”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문화콘텐츠 산업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 해소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김승수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북구을)은 1일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연간 평균 매출액은 118조 4851억원에 이르렀으나, 이중 수도권 매출액은 87.6%인 103조 7864억원, 비수도권 매출액은 12.4%인 14조 6987억원인 것으로 나타나 문화콘텐츠 산업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동안 연도별 매출액을 비교해 보면, 2016년에 105조 54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고, 2020년에는 10% 증가한 128조 2594억원을 달성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87%를 상회하고 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사업체 수에서도 연간 평균 10만 4,042개 업체 중 비수도권은 42.7%인 4만 4461개 업체가 입점해 있고 나머지 57.3%인 5만9581개 업체는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 수 역시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같은 기간동안 문화콘텐츠 산업 종사자 수는 연간 평균 62만 1281명 중 비수도권 종사자는 22%인 13만 3895명인 반면, 수도권 종사자 수는 78% 47만 3989명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었다.
김승수 의원은 “문화예술분야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제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문화콘텐츠 산업마저 지역 불균형이 지속된다면 비수도권의 인구감소로 지방소멸위기에 직면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문재인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실패가 문화예술콘텐츠의 위기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위원회가 출범하면 신속하고 구체적인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계명대, 지역 기업과 손잡고 청년 직주락빌리지 프로그램 본격 추진
- 대구청소년문화의집 꼼지락발전소, 디지털역량강화 4분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 영남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3명,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 경북동해안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동체로 인증
- 영덕군, 2025년 9월 정기분 환경개선부담금 부과
- 영덕군 지품면 노인회, 노인의 날 맞아 산불 피해 주민 위안잔치
- 영덕문화관광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예비거점기관 선정
- 임실군, 농산물안전분석실 운영사업 공모 선정…10억 원 확보
- 임실군, 기획재정부·국민연금공단과 도내 첫 상생 자매결연
- 대구한의대 재학생맞춤형 고용서비스 사업팀, '잡메이커-창직 부트캠프' 운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계명대, 지역 기업과 손잡고 청년 직주락빌리지 프로그램 본격 추진
- 2대구청소년문화의집 꼼지락발전소, 디지털역량강화 4분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 3드리미, 독일에 자동차 공장 설립 검토…글로벌 전기차 시장 본격 진출
- 4HD현대, 선박 건조에 '스타링크' 활용한다
- 5영남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3명,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 6경북동해안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동체로 인증
- 7영덕군, 2025년 9월 정기분 환경개선부담금 부과
- 8영덕군 지품면 노인회, 노인의 날 맞아 산불 피해 주민 위안잔치
- 9영덕문화관광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예비거점기관 선정
- 10테일러메이드 어패럴, 윤이나 프로와 함께한 2025 가을 화보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