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개 중 4개는 '좀비'…금리 상승기 대비책 필요
[앵커]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한계기업이 10곳 중 4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는 상황을 고려하면 한계기업이 더 늘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부실기업은 늘 수록 경제적 부담도 커질 수 밖에 없는 데요. 오늘은 한계기업의 현황과 또 향후 금리 상승 가능성에 대비해 방안은 없는지 금융부 김미현 기자와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기자, 코로나 사태도 있었고 요즘 기업들 경제가 어렵잖아요. 한계기업 상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우선 한계기업을 간략히 설명드리면요.
기업이 한 해 동안 번 돈으로 대출 이자도 내지 못하는 상태가 3년 동안 지속하면 한계기업으로 분류됩니다. 간신히 숨만 붙어있는 상태라고 해서 이른바 '좀비기업'으로도 불립니다.
한국은행이 19일 공개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 통계를 보면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이자보상비율이 100%미만인 한계기업 비중은 40.5%에 달합니다. 이는 통계 집계상 역대 두번째 기록입니다.
즉 국내 10개 기업 중 4개 기업은 지난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영업이익이 금융이자 비용보다 적었단 겁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40.9% 보다 낮은 수치이기는 합니다만, 2019년(36.6%) 이후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특히 이같은 한계기업 중에는 0%미만, 사실상 시장 퇴출 대상 기업도 34.5%나 됩니다.
좀비기업은 늘어난 반면, 같은 시기 이자보상비율이 500%를 넘어선 ‘우량기업’ 비중도 커졌습니다.
500%이상 기업은 2020년 37.4%에서 지난해 집계에서는 38.2%로 소폭 올랐습니다.
같은기간 이른바 관심 대상군인 100~300% 기업은 14.7%에서 14.2% 줄었고, 우량군인 300~500%미만은 7.0%에서 7.1%로 소폭 올랐습니다.
이런 집계로 본다면 우량기업과 좀비기업 간 이익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어서 기업 양극화는 더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난해는 비중이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계속 한계기업 상황이 안 좋은 이유가 뭡니까?
[기자]
코로나 19 이후 금리 인하와 원리금 상환유예 등 정부의 안정화 조치로 기업들이 돈을 빌리는 여건은 완화된 반면, 펜데믹 여파로 인한 수익성은 계속 낮아진 것이 주된 요인입니다.
또 부실기업에 대한 과보호도 영향으로 꼽히는데요. 이 부분은 전문가 얘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싱크] 양준석 /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우리나라에서 문제들이 많은 기업들이 퇴출하지 않도록 되게 많은 지원을 해주는 경우도 있고, 한계기업을 너무 도와주면 생산성이 높은 기업들한테 가는 자본이 부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체 생산성, 경제성장률이 느려지는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이렇다면 올해 상황도 좋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떨까요?
[기자]
네 올해도 상황은 좋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상이 가팔라지면서 기업들의 이자 부담은 점점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국은행도 지난달 금융안정상황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계기업 비중은 높아지고 이들의 부실 위험도 커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 고유가 등의 영향으로 올해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시작된 것도 큰 문제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렇게 되면 기업들은 생산원가 부담이 높아지고, 여기에 소비 둔화, 재고 증가, 인건비 상승 같은 악화된 경영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수익성은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급격한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지속이라는 외부충격 때문에 한계기업이 단기간에 급격하게 더 증가할 수도 있다는 전망들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한계기업 부실은 금융권에도 심각한 상황일텐데요. 대응방안은 있습니까.
[기자]
네 맞습니다. 한계기업이 이자 부담을 못 견디고 결국 무너질 경우 관련 부실은 상대적으로 자본이 취약한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금융시스템 전체까지 번질 수 있다고 한국은행은 경고했는데요.
그래서 금융권에서도 기업들의 대출 상환 능력을 더 세밀하고 수시로 점검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한계기업에는 과도한 자금이 공급되지 않도록 기업 여신 심사를 강화하고, 비은행 금융기관도 충당금 추가 적립 등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정확한 옥석 가리기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오는데요. 이 부분은 전문가 얘기 들어보시죠.
[싱크] 양준석 /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무조건 모든 한계 기업들을 살려야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될 것 같고요. 팬데믹 이후에 한계기업이 된 곳은 이례적인 상황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으니까 일단은 지원해주고 사태가 완화되면 살아남은 기업들을 잘 운영하게 하는 정책이 필요한…"
이제는 부채에 의한 성장보단 내실을 다지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건데요. 다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여전히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앵커]
우리나라 경제 뇌관이 되기 전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잘 들었습니다. 금융부 김미현기자였습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3,089억 PF대출 횡령사고 터진 경남은행…6개월 일부 영업정지
- 농협, 대설·강풍 대비 재해대책상황실 24시간 가동
- 공모주 시장 침체에...사모운용사 매물 쏟아진다
- 교보생명, 풋옵션 공방 연내 매듭…지주 전환 '청신호'
- KB금융, 차기 KB국민은행장 후보 이환주 現 KB라이프생명보험 대표이사 추천
- 금융위, 회계처리 위반 카카오모빌리티에 35억 과징금 최종 결정
- [부고] 이병윤(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씨 모친상
- 우리銀, 신용보증기금과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 확대
- 금융당국, 무궁화신탁에 최고단계 적기시정조치 부과
- 카카오뱅크, 인도네시아 슈퍼뱅크와 금융컨설팅 계약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SK하이닉스 “주당 고정배당금 25% 상향”…‘밸류업’ 계획 발표
- 23,089억 PF대출 횡령사고 터진 경남은행…6개월 일부 영업정지
- 3롯데 “롯데케미칼 특약 조정 담보로 롯데월드타워 제공”
- 4농협, 대설·강풍 대비 재해대책상황실 24시간 가동
- 5지방자치TV, ‘2024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 시상식’ 개최
- 6“기업가에서 독립운동가로”…‘유일한’ 뮤지컬 개막
- 7삼성전자, ‘반도체 쇄신’ 인사…한종희·전영현 투톱 체제로
- 8트럼프측 “반도체법 보조금 재검토”…삼성·SK 촉각
- 9공모주 시장 침체에...사모운용사 매물 쏟아진다
- 101기 신도시 재건축 첫 발…선도지구 3.6만호 선정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