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초등돌봄교실 수용률 매년 하락"…2022년 1학기 90% 미만
이태규 의원 "최근 3년간 초등돌봄교실 대기자 평균 1만3천여명 발생"

[제주=금용훈 기자] 2020년부터 2022년 1학기까지 초등돌봄교실 이용자가 매년 평균적으로 1만3천여명의 초등학생이 돌봄교실을 신청하고도 이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규 의원(교육위원회 간사)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초등돌봄교실 신청자가 2020년에는 277,513명 → 2021년 300,711명 → 2022년 305,218명으로 늘어났고, 이용인원은 2020년 266,564명 → 2021년 283,818명 → 2022년 292,068명으로 나타나 신청자가 증가한 만큼 이용인원도 증가하여 3년간 평균 수용률은 95.3%에 이르렀지만 평균적으로 4.7%에 달하는 약 1만3천여명의 아이들은 대기해야 했다.
시도별로 보면 제주는 86.0%로 다른지역에 비해 현저히 수용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고, 인천은 신청자보다 많은 이용자를 받아 2022년 기준으로 112.5%의 수용률을 보이고 있고, 서울이 99.3%, 대전 98.2%, 세종 97.8%, 경북 97.3% 순으로 높았고, 강원은 89.7%로 90%를 넘지 못했다. 특히 제주와 강원은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수용률이 떨어지고 있어 지역교육청별 대책마련도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17개 시도교육청으로 제출받은 자료를 확인한 결과,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학부모 만족도 조사결과 평균 94.44%의 만족률을 보였고, 제주는 94.5%로 나타났으며, 충북이 97.24%, 울산이 96.9%, 광주 96.6%, 대전 96.5% 순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은 80.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각 시도교육청은 '초등전일제 교육'과 관련하여서는 대체적으로 대부분 희망하는 초등학생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부모 돌봄 부담을 경감하며, 국가교육책임 강화를 위한 방향에 공감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추진하기 위한 방안 마련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태규 의원은 "초등돌봄교실의 수용률이 점차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기해야 하는 초등학생들이 많고, 지역별로 수용률이 크게 차이나는 만큼 윤석열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초등전일제 교실' 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시도교육청, 학부모, 교원, 돌봄전담사 등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필요하다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업모델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기북부, GP철거 후, 주인을 잃은 토지
- [기획Ⅱ] 인천펜타포트락페스티벌, 8월 출격
- 민주당 민생소통추진단 광주·전남 5만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
- 공영민 고흥군수 "해상자율방범순찰대 대응역량 강화 기대"
- 순창군 "군민 안전 최우선"…지역안전지수 개선방안 논의
- 순창군, 대한민국 소프트테니스 '주니어 국가대표 선발전' 개최
- 이종섭 장수군의원, 장수군 중·장년층 지원 정책 수립 촉구
- 한국희 장수군의원, 산불 진화 임도 연결과 장비 현대화 촉구
- 장수군청소년문화의집, 유스x소셜 에코브이 운영
- 최훈식 장수군수, 강풍 피해 농가 현장 방문 '현장 행정' 펼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GP철거 후, 주인을 잃은 토지
- 2인천펜타포트락페스티벌, 8월 출격
- 3"치매 진료에 제도적 지원 시급"…대한치매학회, 새 정부에 3대 정책 제언
- 4민주당 민생소통추진단 광주·전남 5만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선언
- 5'진매 vs 진순’ 논쟁 종결?…오뚜기, 진라면 '약간매운맛' 출시
- 6“주가 반토막·저PBR”…투자자 외면에 K제조업 ‘흔들’
- 7오너리스크에 가맹점 울상…백종원式 상생안 통할까
- 8위메이드, 업비트 등 공정위 제소…“상폐 담합”
- 9대선이후 보험업법 개정안 재점화? 삼성 ‘촉각’
- 10애플페이·NFC설치·코인…카드사 ‘삼중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