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출하 회복…건설현장 정상화엔 역부족
'업무개시 명령 효과' 시멘트 출하 평시 50%로 회복
시멘트 출하량 늘었지만 건설현장은 '정지'
대체공정작업도 한계…"이미 최대치 달해"
오늘 전국 1,269현장 중 751현장 중단
파업 장기화…공사비·입주지연 이자 증가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앵커]
화물연대 파업이 9일째로 들어섰습니다. 시멘트 분야에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이후 시멘트 운송량은 평소의 절반 가까이 회복됐지만 건설 현장을 정상화하는 데는 역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시멘트업 운수종사자에게 내린 업무개시명령 이후 시멘트 출하량이 일부 회복됐습니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어제 기준 출하량은 8만5,200톤으로 전날 4만 5,000톤이었던 것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평소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정부에서도 건설업계 전반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는 만큼 업무개시명령을 시멘트업에 가장 먼저 적용했지만 건설 현장을 정상화시키기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수도권 대부분의 건설현장엔 여전히 시멘트가 들어오지 않고 있어 대기만 하고 있습니다.
시멘트가 필요한 골조 공사를 하지 못하자 철근, 배근, 조경 작업과 같은 대체공정을 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충분히 층수가 올라간 현장이 아니라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건설업계 관계자
"예를 들어 10층짜리 건물에서 4층밖에 진행이 안 된 상황이라면 후속 공정들과 충돌이 우려되기 때문에 외부 조경 등에 후속 공정도 진행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사실상 지금 평균적으로 현장들이 7일에서 10일 이후에는 전체 공사 현장이 멈춘다고 봐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습니다."
화물연대의 파업은 오늘로 9일째입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오늘 3시 기준 전국 1,269개 현장 가운데 751개 현장이 중단됐습니다.
건설업계에선 아직까지 공기 지연으로 입주일을 연기해야 할 상황은 아니지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공사비 증가나 입주 지연에 따른 이자 증가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아직까지 정부와 화물연대의 협상엔 진전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차 교섭 일정도 잡힌 게 없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상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셀리맥스, 아마존 ‘retinal’ 검색 1위 기록…글로벌 입지 강화
- "K뷰티·K팝 시너지 낸다"…바른손, 미스틱스토리와 MOU 체결
- 우딘HAUS, 아파트 중문 자동문 옵션 확대
- 신세계까사, 가을 정취 담은 테이블웨어 ‘화담’ 출시
- 뚜레쥬르, 추석 맞아 신제품 출시…사전예약 시 혜택 제공
- 현대이지웰, 글로벌 ESG 평가서 우수 기업 인증 획득
- HS효성첨단소재, ‘CCE 2025’서 차세대 탄소섬유 솔루션 제시
- 현대그린푸드, 성남시 독거노인 대상 ‘웰니스 프로그램’ 제공
- 추석 앞두고 열린 두뇌 스포츠…현대百, '브리지' 대회 성료
- SKT 에이닷 품은 티맵, 상황별 맞춤형 응답한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목포시, 지역 상권 활성화 나선다…'골목형 상점가' 첫 지정
- 2대구과학대 국방기술행정학과·뮤지컬연기학과, 교육부 전공심화과정 인가
- 3춘향제, 세계 무형유산 모범사례 도전…남원서 국제포럼 개최
- 4영덕군의회, 제316회 임시회 개회
- 5계명대 행소박물관 특별전, 호랑이와 까치로 케이컬처 뿌리 체험
- 6고흥군의회, ‘소상공인 골목상권 활성화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 7장수군의회, 제378회 임시회 개회…철도·농어촌 기본소득 결의안 채택
- 8셀리맥스, 아마존 ‘retinal’ 검색 1위 기록…글로벌 입지 강화
- 9조성오 목포시의회 의장,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성공 기원 응원 릴레이 동참
- 10"K뷰티·K팝 시너지 낸다"…바른손, 미스틱스토리와 MOU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