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무릎 퇴행성관절염이 재발하는 이유

무릎 퇴행성관절염은 고령층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무릎 관절 내부에 염증이 나타나 극심한 무릎 통증을 야기하고 보행 장애까지 일으키기는 질환이다. 문제는 무릎 관절 안에 자리한 연골이 거의 손상된 상태로 치료마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연골재생술, 인공관절 치환술 등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힘들게 치료한 이후에도 무릎 통증에 시달리는 사례가 더러 존재한다.
무릎 관절에는 물렁뼈인 연골이 자리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연골은 수명이 있어 조직이 시간이 지날수록 닳게 되며, 외상을 입거나 무릎 관절에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치료는 손상된 연골을 대체하고 염증을 제거하는 원리다. 또는 무릎 관절을 일부 절삭한 다음 인공관절을 식립할 수도 있다. 만약 연골 손상이 경미하다면 미세천공술, 줄기세포 연골재생술 등을 시행한다.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 후 통증이 재발하는 대표적인 이유로 불안정한 다리 정렬 상태를 꼽을 수 있다. 만약 다리가 O자형 휜다리 상태라면 무릎 퇴행성관절염 치료 이후 또 다시 연골이나 인공관절이 손상되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휜다리는 다리 뼈 자체가 휜 경우, 뼈의 정렬이 잘못 이뤄져 넓적다리뼈부터 정강이뼈로 이어지는 축이 휘어지는 경우 등의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해 이처럼 다리가 일직선으로 곧게 뻗어 있지 않고 휘어 있으면 무릎 퇴행성관절염 재발이 나타나기 쉽다. 다리가 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서 있을 때나 걸을 때 무릎 관절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퇴행성관절염 치료 전 휜다리 여부를 꼼꼼히 살핀 다음 미리 교정해주는 치료를 시행해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O자형 휜다리 교정 방법으로는 '경골근위부절골술'이 있다.
휜다리 치료는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는 효과도 갖췄기 때문에 평소 O자형 휜다리에 대한 자가 진단 및 개선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김영호 일산하이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오세훈 서울시장,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회의’ 열어 대응계획 점검
- 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 고용부 창원지청, 산불 사망 사고 관련해 중처법 위반 여부 본격 조사
- 용인시, 체납자 압류 동산 자체 공매시스템 구축 계획
- 변덕스러운 날씨에 유채꽃축제 2년 연속 불발
- 조기 대선으로 학교 학사일정도 변경 불가피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마이스커머스, 버스킹 통합지원 모바일 시스템 '하이버스킹' 출시
- 2은행연합회,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에 1억원 지원
- 3제24회 진주논개제’ 다음달 3~6일 개최
- 4진주시, 경남도민체육대회 등 대규모 체육행사 개최 준비 총력
- 5달성군, ‘공동주택 관리비용 지원사업’ 본격 추진
- 6달성군시설관리공단, 산불피해 구호 성금 500만 원 전달
- 7“인생샷 남겨볼까” 대구대 캠퍼스 겹벚꽃 만개
- 8영남대-한국행정연구원, 상호 교류 및 협력 협약 체결
- 9경북도,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 대회 참여
- 10영남이공대, 인플루언서 ‘지엠마’ 초청 진로 특강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