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전기료 인상에…“자체 전기 생산”

[앵커]
전기료 인상에 철강업계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습니다.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등 철강 3사는 자체 전기생산을 늘리고 전기로를 고도화 하는 등 위기극복에 나서고 있는데요. 탄소중립에도 나서야 하는 만큼 갈 길이 바쁜 상황입니다. 성낙윤 기자입니다.
[기자]
탄소중립에 속도를 내고 있는 철강업계가 ‘전기료 인상’ 복병을 만났습니다.
전기요금이 kWh당 8원 오르면서 대표적인 전력 다소비 업종으로 꼽히는 철강·제강산업의 부담이 커질 전망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통상 kWh마다 1원이 오르면 원가부담이 약 1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철강업계는 자체 전력생산과 전기로 고도화 등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 실현에도 나서는 모습입니다.
포스코는 현재 활용 전력의 80%가량을 자체 생산하고 있어 전기료 인상 영향이 크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여기에 고객사의 니즈에 맞춰 고로와 전기로에서 만들어낸 쇳물을 적절히 배합해 제품을 생산하는 등 탄소 배출 비용을 조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싱크] 포스코 관계자
“중장기 로드맵을 세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기술을 확보하고, 2040년에는 탄소 배출량을 현 상황 대비 50%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입니다”
현대제철은 부생가스 발전소를 통해 제철소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는 등 ‘자가 발전’으로 전기료 인상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복안입니다. 또한 독자 기술인 ‘하이큐브(Hy-Cube)’ 기술과 3년 전 가동을 중단했던 당진제철소 A열연공장의 전기로를 재가동해 탄소중립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입니다.
동국제강은 포항공장 약 5만평 부지에 태양광 자가 발전 설비를 활용, 연간 약 15억 원의 전기료를 절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전기로인 '에코아크 전기로'를 운용해 전력 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일반 전기로 대비 전력 사용량을 30% 가량 줄였습니다. 전력 효율을 더욱 높이는 '하이퍼 전기로' 개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성낙윤입니다. /nyseong@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서로에게 너무 당연한 태도가 불러오는 갈등
- 2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3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4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5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6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7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8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9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10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