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또 ‘불발’…“국내증시 영향없어”

[서울경제TV=최민정기자] 한국이 올해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이 불발됐다. 이에 한국이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긴 위해선 최소 3년은 더 걸릴 전망이다.
현지시간 22일, MSCI는 홈페이지를 통해 2023년 연례 시장 분류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은 신흥국(EM) 지수에 속하는데, 관련 변경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해 외국인 투자자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고, 배당금 지급 투명성을 높이는 등 재도 개선을 추진한 바 있다.이에 MSCI는 “해외 투자자의 한국 주식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제안된 조치들을 환영하며 향후 제도 이행의 효과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MSCI가 이달 초 발표한 시장 접근성 평가에서 한국 증시는 지난해와 같이 18개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마이너스’(개선 필요) 평가를 받았다.
당시 MSCI는 평가 보고서에서 “영문 정보 공개는 개선됐으나 항상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영문 공시 의무화 방안이 본격 시행되면 국제 기관투자자들과 관련 영향을 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MSCI의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지수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1년 이상 올라야 한다. 이번에 후보군에 들지 못한 한국 증시의 선진국 지수 편입 도전은 다음 기회인 내년 6월로 넘어갔다. 내년 6월 후보군에 들어가면 2025년 6월에 지수 편입이 정식 발표되고, 2026년 6월쯤 실제 편입이 이뤄진다.
증권가에선 국내증시에 MSCI 선진지수 편입 불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향후 MSCI 편입을 위한 자사주 매입, 소객 제도 개선안 등 정부 정책 모멘텀이 이어질 것이라 설명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일 발표된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은 불발됐으나, 지난주 관찰국 등재에 실패한 이후 예상된 결과였다”며 “‘해외 투자자의 한국 주식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제안된 조치들을 환영하며 향후 제도 이행의 효과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라는 MSCI 측 코멘트를 감안했을 때 향후 편입은 시차를 두고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하반기에 발표될 자사주 매입, 소각 제도 개선안 등 정부 정책 모멘텀 역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choimj@seaily,c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