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폐업 ‘급증’…돈 빌릴 곳 없어지는 저신용자

[앵커]
대부업체들이 최근 수익성 악화로 문을 닫고 있는데, 그 수가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대부업체는 저신용자나 서민들이 소액대출 창구로 이용되고 있어 자칫 불법사금융 시장으로 내몰릴지 않을지 우려스럽습니다. 민세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부업체들이 최근 줄줄이 폐업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오늘(4일) 한국대부금융협회 등은 지난해 손해보상보증금을 반환받은 대부업체가 전년대비 19곳 증가한 41곳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부업체들은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보증금을 예탁하거나 보증보험에 가입해야 하는데, 보증금 반환은 주로 폐업 시 이뤄집니다.
실제로 지난해 41곳 중 29곳이 폐업 사유로 보증금을 돌려받았습니다.
이같은 폐업에 따른 보증금 반환 건수는 2년전과 비교하면 81% 급증했습니다.
대부업체들이 잇달아 문을 닫고 있는 건 영업 수지타산이 안 맞기 때문.
[싱크] 업권 관계자
“수익성이 안나오니까 당연히 폐업할 수 밖에 없는 구조고요. 조달 금리도 올라간 상황이고 대손 비용이 대략 10%가 넘어요. 그렇다고 지금 경기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금리가 낮아질 기미는 안보이고…”
법정 최고 대출금리는 20%로 묶여있는데 조달 비용은 계속 올라가니 영업을 할수록 오히려 손해라는 겁니다.
문제는 이런 경우, 소액대출 주고객층인 저신용자들이 갈 곳이 없어진다는 점입니다.
최근 최대 500만원을 대출해주는 서민금융진흥원 정책금융상품이 지난 1일 하루만에 한달분이 소진된 현상은 급박한 대출수요를 반증해 줍니다.
전문가들도 시장 구조상 저신용자가 갈 곳이 점점 없어지는 현 상황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싱크]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대부업권이) 민간에서 시장을 통해서 대출수요자들이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시장인데, 이 시장이 상당히 제 시장 기능을 못하잖아요 (대부업권이) 제도권의 가장 경계에 있는 시장이거든요. 정부의 정책금융 통해서 뭔가 길을 열어줘야…”
저신용자들이 제도권에서 밀려나 불법 사금융 내몰릴 가능성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책금융을 확대하고 법정 최고금리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민세원입니다. /yejoo0502@sedai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산업은행, 원전산업성장펀드 1000억원 조성 개시
- 대신證 "폴더블폰 성장 명확, 힌지 부품업체 KH바텍 주목"
- 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2500선 붕괴
- KB증권 "HD현대중공업, 신규 수주 호조…목표가↑"
- 케이뱅크 CSS 3.0 구축...이용자 특성 반영한 신용평가모델 고도화
- 삼성證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성장 기대…목표가↑"
- NH투자 "엔터 산업, 성장 호재 지속…비중 확대 기회"
- DS투자 "DB하이텍, 中 이구환신 수혜 예상…목표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경찰서, 춘향제 앞두고 공중화장실 비상벨 점검
- 2남원시, 제17기 청소년참여위원 위촉…"청소년 정책, 우리가 만든다"
- 3장성군, 민원업무 부서 대상 ‘찾아가는 청렴 티타임’ 진행
- 4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5남원시, 성인문해교육 공모 선정…국비 3,500만 원 확보
- 6남원시,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예비회원 가입 신청
- 7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 8남원시, 청명‧한식 앞두고 산불 비상체제 가동
- 9순창군, 산불 대응 매뉴얼 재정비…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개최
- 10남원시의회, 전북대 지역산업학과와 교육 간담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