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 내달 본격화…다중채무 실효성 의문
금융당국, 내달부터 이자 캐시백·신용사면 시행
은행권 6,000억 규모 취약 계층 지원 방안 발표 예정
고금리 장기화, 가계 대출 다중 채무자 역대 최다
퍼주기식 지원 아닌 구조조정 등 핀셋 지원책 절실

[앵커]
정부가 다음 달부터 고금리 고통을 받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상생금융 지원을 본격화 합니다. 이자캐시백과 298만명의 신용사면 시행이 대표적인데요. 이런 가운데 빚 내서 빚 갚는 다중 채무자도 빠르게 늘고 있어 상생 금융 효과가 있을지 의문도 제기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다음 달부터 금융 당국과 금융권이 민생 상생 금융 일환으로 이자캐시백과 신용사면을 시행합니다.
시중 은행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187만명 대상 1조3,600억원 이자캐시백을 집행했고, 다음 달에는 40만명을 대상으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이자캐시백이 3,000억원 규모로 시행됩니다.
또 다음 달 은행권에 6,000억원 규모 취약 계층 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연체 이력 삭제 등의 전국 298만명의 신용사면도 시행됩니다.
이외에도 소상공인 저금리 대출 전환도 올해 1분기 시행을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지원 확대에도 효과에 대한 물음표가 제기됩니다.
빚 급증에는 역대 최다 수준인 다중 채무자 영향이 큰데, 돌려막기 한계점에 온 상황에서 지원 효과가 제대로 나타날 수 있느냐는 의문입니다.
2020년 1분기 428만명이던 다중 채무자는 2021년 426만명으로 소폭 줄었지만, 2022년 446만명으로 다시 상승했고, 지난해 1분기 448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그리고 3분기에는 450만명으로 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가계 부채 데이터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최다 규모입니다.
전체 가계 대출자 중 다중 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2.75%, 여기에 연체율은 1년 만에 2배 인 1.78%까지 뛰면서 연체액은 13조원에 달합니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전국 자영업 다중 채무자의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743조원으로 이 역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여기에 주택 담보 대출 같은 다른 용도로 받은 대출을 포함하면 800조원을 넘어섰을 거란 분석도 나옵니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에 자영업 대출 규모와 연체 증가가 빨라 유의해야 한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금융 지원이 다중 채무를 오히려 늘릴 수 있다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금융권을 중심으로 무조건 퍼주기식 지원책 보다는 자영업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 등 다중 채무를 줄일 수 있는 핀셋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가는 이미 두배 올랐는데…디에스케이, 지체되는 M&A '골머리'
- 'IPO 삼수' 케이뱅크, 관문 더 높아졌다
- 업비트, APEC 간다…"韓 블록체인 세계로"
- 코스피 사상 첫 3800 돌파…개미는 하락에 베팅
- 비에이치아이, 올해 신규 누적 수주 1조5000억원 돌파
- 지니언스, 중동 ICT 전시회 '자이텍스 두바이 2025' 성료
- 코스피, 장중 3800 돌파…또 사상 최고치 경신
- 키움운용, 'KIWOOM 미국대형주500월간목표헤지액티브 ETF' 21일 상장
- 우리은행, ‘삼성월렛 머니·포인트’ 연계 고금리 금융상품 출시
- 한화투자증권, ‘한국대표주 VA랩’ 누적 판매액 1000억 원 돌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가는 이미 두배 올랐는데…디에스케이, 지체되는 M&A '골머리'
- 2광주 북구청장 도전 정달성 의원, 노형욱 전 장관 회동…"북구 지역발전 논의"
- 3국회 문체위 “노관규 순천시장 증인 불출석 시 대가 치를 것” 강력 경고
- 4‘안산페스타‘ 축제는 경제활성화 키포인트
- 5응급·분만 취약지 지원…동두천 ‘유일 응급실’ 지킨다
- 6국제라이온스협회 355-B3지구 여수새희망라이온스클럽, 만덕동·복지시설 찾아 생필품·혹한기 물품 전달
- 7주철현 의원 "임업 세제, 농업보다 불합리…이재명 정부 임기 내 개선 시급"
- 8포항시의회 김일만 의장, 지방자치대학 수강생 대상 특강 실시
- 9김천교육지원청, 교사관찰추천제 적용 통한 재능 있는 영재 발굴
- 10포항시, ‘스타점포 육성 및 활성화’ 사업 본격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