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결과가 증시에 미칠 영향은?… 低PBR주·금투세 '관심'
與 승리 시 ‘저 PBR주’ 반등 에너지 생길 수도
"변동성 장세 대비해 반도체 등 실적株 집중해야"
대신證"野 200석이면 밸류업 동력 약화"
與 "금투세 폐지해야" vs 野 "당초 계획대로 도입"
과거 총선 직후, 증시 하락 4번·상승 2번

[앵커]
내일(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열립니다. 윤석열 정부가 기업가치 제고를 통한 주가 부양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이라, 이번 선거에서 여야, 어디가 승기를 잡느냐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총선 이후 증시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짚어봤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총선을 하루 앞둔 국내 증시는 경계감을 나타냈습니다.
오늘(9일) 코스피는 0.46%, 코스닥은 0.14% 하락 마감했습니다.
증권가는 총선 결과가 당장 코스피 지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유안타증권은 “각종 세제혜택 확대 등 정책에 대해선 여야가 인식을 공유하고 있어 총선 결과에 따라 주가 조정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숨 고르기의 일환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증권가는 총선 이후 크게 두 가지 키워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 PBR주(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의 반등 여부입니다.
지난 1월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하면서, 자동차·금융 등 저 PBR주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최근 숨고르기에 들어가며 총선 결과에 따른 주가 반등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대신증권은 "민주당이 200석을 이상 차지할 경우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시행력, 추진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질 수 있다"며 "국민의힘이 150석 이상을 차지할 경우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가 다시 한 번 커지면서 ‘저PBR주’들의 분위기 반전에 힘이 실릴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와함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도 관심입니다.
정부, 여당은 폐지를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당초 계획대로 2025년 도입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금투세는 주식과 채권 등 금융상품 수익이 5,000만원을 넘을 경우 20%, 3억원을 초과할 경우 25%로 세금을 일괄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또한, 증권가에선 총선 이후 반도체 등 실적 기반 업종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도 내놓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총선 전후 주식시장 내 불확실성이 증대될 수 있는 때일수록 확실한 분야로의 집중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반도체 중심의 1분기 실적 개선 업종에 관심을 지속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2000년 들어 진행된 총 6번의 총선 이후 주가를 살펴보면, 16대부터 21대까지 두 번을 제외하고 모두 하방 압력을 받았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가조작 합동대응단 출범…'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논란…"규제 사각지대" 우려
- 오너 리스크 불거진 하이브…주가도 '급제동'
- "고령층이 핵심 고객"…KB금융, 시니어 사업 고도화
- 농협중앙회, 재해대책위 개최…여름철 재해대응 500억원 긴급 편성
- 농협경제지주, 일본 쌀·쌀가공식품 수출 확대 박차
- 이니텍, '제로트러스트' 미래 보안 전략 세미나 개최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대상, 내년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확대
- 금융위, 삼성·한화·미래에셋 등 7곳 금융복합기업집단 지정
- 심플랫폼, HDC현산에 ‘AI 온열질환 대응 플랫폼’ 공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장 얇은 갤럭시 워치8 공개… "수면부터 운동, 항산화 지수도 안내"
- 2얇고 가벼워진 갤럭시 폴더블, 'AI 눈' 제미나이 라이브 탑재
- 3포항시, 첨단해양R&D센터 개관…해양 신산업 전진기지 본격 가동
- 4경주시, 민선 8기 3주년… “이제는 세계를 향해 나아갈 때”
- 5이동환 고양시장, ‘G-노믹스 5개년 계획’ 발표
- 6경상원, 소상공인 해법 찾는다...'지원기관 협력방안 포럼' 성료
- 7용인특례시의회, 생성형 AI 활용 콘텐츠 교육
- 8인천관광공사, APEC 연계회의 안전 강화
- 9과천시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지중화 논의'
- 10안양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