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화물 매각 본입찰 D-1…"자금 조달 관건"
아시아나 화물 25일 본입찰... LCC 4파전 구도
EC, ‘미주·유럽’ 노선 운항허가도 변수로 꼽혀
제주항공, 국내 3위 항공사…"실탄 마련은 미지수"
'한투파 지원사격' 에어인천, 유력 인수 후보 떠올라
다음달 우협대상자 선정…복수 항공사 선정 전망

[앵커]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을 위한 본입찰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르면 다음달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올해 상반기 내로 인수전을 매듭짓겠다는 계획인데요. 새 주인의 향배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 주관사인 UBS가 내일(25일) 본입찰을 진행합니다.
이번 인수전은 4파전으로 압축됐습니다.
예비입찰에는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에어프레미아, 에어인천 등 4곳이 참여했습니다.
4곳 중 한 곳이 아시아나 화물사업의 새 주인으로 낙점될 전망입니다.
관건은 자금 조달 역량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부 매각 가격은 약 6,000억원이 거론됩니다.
여기에, 보유 부채 4,000억원을 합치면 최종 인수가는 1조원 안팎으로 추산됩니다.
제주항공을 제외한 3곳은 지난해 말 기준 자본잠식 상태로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만큼, 사모펀드와 손 잡고 자금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선, 에어인천은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손잡고 유력한 인수 후보로 떠올랐습니다.
우리은행과 NH투자증권을 우군으로 확보한 이스타항공은 블라인드 펀드(1차 클로징 금액 3,400억원) 재원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애경그룹을 모회사로 둔 제주항공은 국내 3위 항공사로 기업 규모 면에선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사모펀드의 출자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충분한 실탄 확보 여부가 관건입니다.
이 가운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어떤 기준으로 화물사업부 매각을 바라보는지도 변수입니다.
아시아나 화물 부문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주, 유럽 등 노선별 운항 허가가 과제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EC의 시각이 단순 자금력인지, 아니면 장기 운영 쪽인지에 따라 갈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편, 다음달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전망인 가운데, 복수 항공사가 선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금융그룹, 5년간 110조원 규모 생산적·포용금융 추진
- 신한금융그룹, 생산적·포용금융 5년간 110조원 투입한다
- 카카오뱅크, MSCI ESG 평가서 최고 등급 AAA 획득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B금융그룹, 5년간 110조원 규모 생산적·포용금융 추진
- 2“모든 여성들이여 도전하라”…‘2025 슈퍼탑코리아’ 부산서 성황리 열려
- 3KT 소액결제 해킹, 펨토셀로 암호 해제 가능…‘도청 우려’ 확산
- 4서울 아파트 3채 중 1채는 30대 손에…‘영끌 매수’ 다시 확산
- 5정년 연장 논의 본격화…‘청년 일자리’ 고용시장 파장 촉각
- 6서울 시내버스 노조, 수능 당일까지 파업 철회…13일 추가 교섭
- 7美 셧다운 39일째…트럼프 '필리버스터 폐지' 압박
- 8롯데, '제10회 슈퍼블루마라톤' 성료
- 9쿠팡, ‘쿠패세’ 개최…인기 패션 상품 특가에 선보인다
- 10현대백화점, 친환경 캠페인 ‘365 리사이클 캠페인’ 진행


































































댓글
(0)